[열전 25시] 4월 5일 인천 현장은 지금②

인천 서구에 3번째 방문, 정세균 전 총리 김교흥 후보 지지유세
국힘 배준영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후보, 사전 투표 마쳐…“지난 의정활동 성과 보고 투표해달라”
국힘 이현웅 부평을 후보, “박선원 후보, 1113공병단 유치 공약 이중적”

■ 인천 서구에 3번째 방문, 정세균 전 총리 김교흥 후보 지지유세

image
정세균 전 총리가 5일 인천 서구 정서진 시장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서구갑 후보를 지원유세 하고 있다. 김 후보 캠프 제공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4일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서구갑 후보 지지유세에 나섰다. 이는 지난 13일과 17일에 이어 3번째 인천 방문이다.

 

5일 김 후보 캠프에 따르면 정 전 총리는 이날 정서진시장을 찾아 “김교흥 후보는 일을 굉장히 많이 했다”며 독려했다.

 

이어 “특히 행정안전위원장으로 2년 연속 윤석열 정권이 전액 삭감한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예산 3천억원을 국회에서 지켜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굵직하고 어려운 현안이 많은 서구, 실력있고 유능한 김교흥 후보가 적임자”라고 거듭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이번 총선은 대한민국과 서구의 미래를 좌우하는 선거”라며 “물가 폭등과 경제 무능을 투표로 심판해달라”고 했다. 이어 “인천대로 지하화 사업과 장개고길 개통 등 10년 넘은 해묵은 서구 현안 대부분을 해결했다”며 “김교흥이 시작한 서구의 변화와 발전, 김교흥이 마무리할 수 있게 기회를 달라”고 덧붙였다.


■ 국힘 배준영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후보, 사전 투표 마쳐…“지난 의정활동 성과 보고 투표해달라”

image
국민의힘 배준영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후보가 5일 옹진군 북도면 국민체육센터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고 있다. 배 후보 제공

 

국민의힘 배준영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후보는 5일 옹진군 북도면 국민체육센터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했다고 밝혔다.

 

배 후보는 이날 투표를 마친 뒤 “온 가족이 사전투표를 했다”며 “의정활동하는 4년 동안 자녀들이 우리 지역에서 성장해 건실한 유권자가 돼 뿌듯하다”고 했다. 배 후보의 배우자는 강화군, 딸은 중구, 아들은 군부대 등에서 투표를 했다.

 

배 후보는 “북도면은 현재 영종~신도 다리가 건설되고 있고 앞으로 중구와 옹진군, 강화군을 잇는 요충지로서 뜻깊은 곳”이라며 “그래서 사전투표 장소로 선택했다”고 했다. 이어 “지난 의정활동 성과를 보고 지역일꾼 배준영에 투표해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 국힘 이현웅 부평을 후보, “박선원 후보, 1113공병단 유치 공약 이중적”

image
국민의힘 이현웅 부평을 후보. 경기일보DB

 

국민의힘 이현웅 부평을 후보가 같은 지역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후보의 복합쇼핑몰 유치 공약을 두고 ‘이중적 태도’라고 비판했다.

 

5일 이 후보는 보도자료를 내고 “박 후보는 1113공병단 부지 내에 복합쇼핑몰을 유치하겠다고 밝혔지만 뒤에서는 전국복합쇼핑몰입점저지비대위 등과 만나 협약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후보는 복합쇼핑몰 유치 공약에 대해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지 말고 확실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두 후보는 지난 1일 열린 토론회에서 1113공병단 부지 내 복합쇼핑몰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지난 4일 박 후보는 전국복합쇼핑몰입점저지비대위,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한국마트협회, 전국중소유통상인협회 등을 만나 정책 협약식을 열고 지역사랑상품권 예산확대, 중소상인·자영업자 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약속했다.

 

박 후보 측은 “공병단 부지 관련 후보의 공약 및 입장은 주민 요구를 우선으로 쇼핑몰 면적을 최대한 늘리자는 것”이라며 “쇼핑몰 유치를 반대하거나 저지하겠다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보호를 위한 업무 협약과 공병단 부지 관련 공약은 완전 다른 이야기인데 흑색선전을 하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부평구는 지난 2021년부터 부평구 청천동 325, 5만1천740㎡(1만5천678평) 공병단1113 부지에 병원과 복합쇼핑몰·오피스텔을 짓는 1조6천억원 규모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특혜 논란과 상업 시설 면적에 대한 의견 차이로 사업이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