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토지 수용에 어려움을 겪은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의 노후 산단 재생사업을 본격화 한다.
9일 시에 따르면 오는 하반기 10억원을 들여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 재생계획 및 재생시행 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 시는 이를 통해 기반시설 및 지원시설 개발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 인천기계산단에는 183개 업체, 지방산단에는 578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2곳 산단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수는 9천500여명에 이른다.
우선 시는 오는 2028년까지 총 272억원을 들여 주차장과 공원 등의 기반시설을 비롯해 편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는 노후 산단의 이 같은 기반 및 편의시설 부족 현상이 산단 근무 기피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민간에 복합용지 공모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종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도시공사(iH)와 협력해 성보공업㈜ 부지 활용 방안도 찾을 예정이다. 앞서 iH는 지난 2019년 성보공업㈜ 땅 5천398㎡(1천630평)를 130억원에 사들여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 63만㎡(19만평)에 대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산업단지 일대의 인천시의료원과 인천교공원, 어린이교통공원 등의 부지 확보 문제에 부딪혀 좌초했다.
이 때문에 시는 이번 노후산단 재생사업 구역에 포함해 있는 인천시의료원을 비롯해 동구의 기반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노후 산업단지의 활성화를 통해 뿌리산업을 비롯한 첨단산업 융복합 등의 구조고도화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마지막으로는 민간개발을 유도해 산단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