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신도시 건설 등 ‘교통 혼잡’ 전용차로 신설 등 노선 개편 착수 車 정체 해결·대중교통 편의성↑
정부가 경기 남부권 전용차로·광역버스를 늘리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경기도도 도내 시내버스 전용차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아 나선다.
도는 신도시 건설 등으로 교통량이 늘어나는 지역을 중점적으로 전용차로 신설·개선 방향을 찾을 방침인데, 전문가들은 실효성이 떨어진 노선에 대해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부터 도심 속 차량 정체 등을 해소하고, 대중교통 이용객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내 버스전용차로 개선 작업에 착수한다.
도는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이후 도내 신도시 입주 계획에 대비해 중장기적으로 버스전용차로를 개선·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도내 23개 구간에 길이 83.1㎞의 가로변 버스전용차로가 있다. 가로변 차로는 도로 중 가장 우측 차로 파란선을 그어 만들어 버스만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운영 방식으로, 지난 2004년부터 BRT가 확대되면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도내 BRT 구간은 총 18곳, 길이는 173.7㎞에 달한다.
2기 신도시 개발 등으로 경기도 전체 인구의 약 55.8%인 761만명이 거주하는 수원, 화성 등 경기 남부권에는 하루 평균 32만9천여명이 버스를 이용해 서울로 오가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 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41.9%로 나타났는데, 특히 주거 분산정책인 1·2기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출퇴근 대중교통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도는 기존 도로·기반시설이 신도시 입주로 인한 인구 증가로 대규모 교통량을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이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전용차로 도입 여건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수시로 바뀌는 도시 상황과 교통 여건 등으로 버스전용차로 신설·개선을 모색할 시점”이라며 “도로 여건 등 시대 변화를 반영,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 최적의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수도권은 기존 도로 확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상습정체구간에 대한 전용차로 활용도를 높이고 흐름이 원활한 구간에 모든 차량이 다닐 수 있는 혼합차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배웅규 중앙대 도시시스템공학 교수는 “수도권 도심 도로 확장은 사실상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버스전용차로 개선을 희망하는 전체 구간에 차량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 통행량을 섬세하게 조사해 시간대 별로 운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