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파주에 축구장 9배 규모 ‘데이터센터’ 건립

image
파주 월롱면 LGD(엘지디스플레이)산업시설용지 전경. LGD 제공

 

LG유플러스가 파주 월롱면 LGD산업시설용지에 축구장 9개 규모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건립 관련 시가 LG 첨단산업클러스터 구축 등 정책 마련에 나섰다.

 

5일 파주시와 LG유플러스 등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신규 하이퍼스케일급 IDC 설립을 위해 LGD가 보유한 산업시설용지(구 희성전자) 부동산을 1천53억원에 매입했다. LGD의 불요불급한 부지를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LG유플러스는 신규 사업부지 확보가 목적이다. 하이퍼스케일급은 서버 10만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데이터 센터다.

 

부지 면적은 약 7만 3천712㎡로 축구장 약 9개에 달하는 크기다. 이는 LG유플러스가 기존에 보유한 하이퍼스케일급 IDC ‘평촌메가센터(1만7천282㎡)’의 4.2배, ‘평촌2센터(7천550㎡)’의 9.7배 규모다. 이번에 구축하는 파주 IDC는 세 번째 하이퍼스케일급 IDC로 경기북부에선 처음이다.

 

앞서 지난해 9월 경기도로부터 해당 지역 관리계획변경승인도 받았다. 도는 민선8기 경기북부종합발전 아젠다 추진계획에 LCD 지원사항을 포함시켰다. 향후 일정은 올해는 설계에 주력하고 내년은 구 희성전자 건물철거 및 착공, 오는 2027년 초 완공 계획이다.

 

LG유플러스가 파주에 IDC를 구축하는 건 생성형 AI 도입 확대와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로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로 파악됐다.

 

문제는 초거대 데이터센터 건립으로 인한 전력·용수 확보 그리고 주민 민원발생 여부다.

 

파주시는 GS건설이 고양덕이동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면서 신파주변전소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약 5㎞ 구간 지하 도로굴착을 요청했지만 굴착되는 지역 주민 반발 이유로 불허했다 최근 행정심판에서 진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입장이 다르다. 이미 경기도 관리기본계획 변경승인된 사항이고 기반시설(전력,용수 등)은 LGD 사용량 범위에서 산업단지에 건립되고 주민 민원발생 소지도 없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초거대 데이터센터 건립으로 LG계열사 집적화 첨단산업단지 구축 및 고급일자리창출 등 지역경제활성화에 기대를 걸고 있다”며 “파주에 평화경제특구 유치에도 시너지효과를 가져올것으로 보여 연착륙 정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국내외 수요조사등을 기반으로 정확한 규모등은 향후 설계를 통해 드러날 것”이라며 “AI 시대에 발 맞춰 파주 센터를 초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운영·관리에 최적화된 국내 대표 ‘AI 데이터센터’로 키워낼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