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문 고양 안전보안관 연합대장 “시민안전은 내가 지킨다”

고양특례시 제4대 안전보안관 연합대장인 강재문 대장.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 제4대 안전보안관 연합대장인 강재문 대장. 신진욱기자

 

안전보안관은 우리 동네 시민안전지킴이다.

 

생활, 교통, 시설, 학교, 산업, 사회, 해양 등 모든 분야에서 안전문화운동을 펼친다.

 

고양특례시는 39개 동에 안전보안관 조직이 결성돼 있고 총 379명이 활동 중이다. 2018년 79명으로 출범해 6년 만에 5배 성장했다. 동 단위까지 조직을 갖춘 드문 성공 사례다.

 

평대원으로 시작해 동대장을 거쳐 지난해 1월 제4대 고양특례시 안전보안관 연합대장에 취임한 강재문 대장(64)을 만났다.

 

안전보안관이 된 이유를 묻자 그는 “일반적인 봉사는 활동이 거의 비슷한데 안전보안관은 활동 범위가 넓고 다양해 흥미로웠다. 일산3동에서 대원 13명이 의기투합해 시작했다”고 말했다.

 

강 대장은 “안전보안관은 순찰 중 안전에 문제가 된다고 판단하면 현장에서 즉시 안전신문고 앱을 통해 신고한다. 통상 3일 안에 시 해당 부서가 수용 여부를 결정하고 조치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일반인은 그냥 지나칠 위험을 안전보안관은 놓치지 않는다.

 

바람이 많이 불면 강 대장은 하늘만 보고 다닌다. 흔들리는 간판이 있으면 메모를 하고 건물 관리인에게 조치를 당부한다. 다음 순찰 때 반드시 보수가 됐는지 확인한다.

 

고양시 안전보안관 중 여성 대원은 70% 정도다. 39명 동대장 중 19명이 여성이다.

 

강 대장은 “여성이 더 꼼꼼하다. 매의 눈으로 위험을 발견한다. 주요 활동 중 하나인 공중화장실 불법카메라 단속도 여성 대원이 있어 가능하다”며 여성 대원의 중요성과 역할을 강조했다.

 

안전보안관들이 소화기 위치표시 및 이용방법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안전보안관들이 소화기 위치표시 및 이용방법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을 묻자 “코로나19가 한창일 때 몇 달 동안 쉬지 않고 마스크 구매 행렬의 질서유지 활동을 했던 것이 생각난다. 그리고 몇 년 전 순찰 도중 육교 밑에서 치매 어르신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해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던 게 가장 기억난다”고 했다.

 

시민들이 건네는 ‘고맙습니다’는 말 한마디가 최고의 보상이라는 강 대장은 “재난은 사소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원인을 초기에 빨리 발견해 조치하면 큰 재난을 막을 수 있다. 시민들도 내 주변의 위험요소에 한 번쯤 관심을 갖는다면 안전이 더 정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전보안관제도를 만들고 성장시킨 주역인 김주영 고양시 사회재난팀장은 “공무원의 손길이 모든 곳에 닿을 수 없다. 안전보안관 활동으로 안전사고 발생률이 떨어지면 시민 만족도가 높아지고 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꼭 필요한 존재”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