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경기도 대표 정책인 ‘예술인 기회소득’ 수혜 예술인들의 예술 활동 및 자기 계발 시간, 행복감 등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정책효과 분석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도는 지난해 9~11월 경기예술인지원센터 예술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지역 예술인 가운데 2천40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 중 지난해 예술인 기회소득 수혜자는 618명, 비대상자는 1천785명이었다.
예술인 기회소득은 도에 거주하는 예술 활동 증명 유효자 중 개인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120% 수준 이하인 예술인에게 연 150만 원을 2회에 걸쳐 지급하는 사업이다.
우리 사회에서 가치를 창출하지만,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계층에겍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자 일정 기간 소득을 보전하는 도 대표 정책 중 하나다.
조사 결과 예술인 기회소득을 지급받은 지역 예술인의 예술 활동 및 자기 계발·학습 시간, 행복감은 수혜 전 대비 각각 7.4%, 자기 계발 시간은 9.7%, 3.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훈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예술인 기회소득으로 예술인의 예술 활동 투자 시간을 증가시켰으며, 자기 계발·학습과 같은 적극적인 활동으로도 확산됐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예술인 역량 강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