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문화유산] 혼개통헌의 (渾蓋通憲儀)

image

 

동양의 전통 우주론인 혼천설(渾天說)과 개천설(開天說)을 하나의 원판형 의기(儀器)에 통합해 표현한 천문시계로, 중국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천문시계 ‘아스트로라브’를 실학자 유금이 조선식으로 해석해 1787년에(정조 11년) 만든 천문 도구다.

모체판의 앞면 중심은 하늘의 북극을 상징하는 구멍에 핀으로 성좌판을 끼워 회전토록 했다. 외곽을 24등분해 맨 위에 시계 방향으로 시각을 새겼다. 유금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독자적인 별을 그려 넣기도 했다.

 

이처럼 ‘혼개통헌의’는 서양 천문학과 기하학을 이해하고 소화한 조선 지식인들의 노력을 보여주며 제작 원리와 제작의 정밀도 등에서도 18세기 조선의 수학, 천문학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과학 기기다. 문화재청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