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당국이 9일 오후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했다.
합참은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해 경고한 바와 같이 오늘 오후 확성기 방송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합참은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추가 실시 여부는 전적으로 북한의 행동에 달려 있다”며 “사태의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또 "오물 풍선 살포 등 비열한 방식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를 결정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북 확성기 방송은 이날 오후 5시께부터 2시간여 동안 최전방 지역에 설치된 여러 대의 고정식 확성기를 통해 우리 군이 제작한 대북 심리전 방송 '자유의 소리'를 확성기로 재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북 확성기는 고출력 스피커를 이용해 장비, 시간대에 따라 청취 거리가 10∼30㎞ 수준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대북 확성기 방송 시작 시간과 확성기 가동 장소, 가동 장비의 종류와 수량 등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선 군사작전에 해당하는 만큼 설명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였지만 2018년 4월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 및 9·19 군사합의에 따라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됐다. 이동식 장비는 인근 부대에 보관 중이었다.
그러나 지난 4일 정부가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 '9·19 남북군사합의' 모든 조항의 효력을 정지하면서 군 당국은 고정식·이동식 확성기 모두 언제든 재가동할 준비를 마친 바 있다. 또 우리 군은 대북 확성기 방송 시행에 대비해 최근 확성기 가동 훈련을 실시했다.
이후 북한이 확성기 방송에 반발해 도발할 경우, 우리 군은 대북 방송을 추가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합참은 "확성기 이동 및 설치, 운용절차 숙달 등 일명 '자유의 메아리' 훈련을 시행했다"며 "자유의 메아리는 북한의 실상과 대한민국의 발전상, K-문화 등을 북한군과 주민에게 알리기 위해 우리 군이 보유한 전 장비를 일제 점검하고 실제 상황을 가정해 배치하는 절차를 숙달하는 훈련"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