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환경미화원 안전 위해 ‘저상형 청소차’ 보급 확대해야

최근 5년간 부상 당한 환경미화원이 3만명을 넘는다. 사망한 환경미화원은 280명에 달한다. 근로복지공단이 2019년부터 지난해 7월까지 집계한 통계다. 대표적인 위험 직종인 소방 공무원이 지난 10년간 부상 4천219명, 사망 55명인 것과 비교해 훨씬 높은 수치다.

 

경기도에서도 사고가 적지 않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환경미화원 안전사고가 499건이나 된다. 음주운전 차량에 치이는 사고를 비롯해 넘어짐, 떨어짐, 부딪힘, 끼임, 절단·베임·찔림 등 유형도 다양하다.

 

환경미화원은 도로 주변을 청소하거나 쓰레기 종량제 봉투와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청소차량 뒤편의 발판에 의지해 이동하며 작업하는 환경미화원들을 보면 아찔하다. 차량은 거리와 골목에서 가다 서다를 반복하고, 여기에 맞춰 미화원들은 발판을 오르내리며 쓰레기를 수거한다. 실내가 아닌 외부에서 일을 하는 데다, 차량에 매달려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다. 실제 폐기물을 수거하던 30대 환경미화원이 음주차량에 치여 한쪽 발을 절단하는 사고가 있었다.

 

‘환경미화원 작업안전 가이드라인’에는 청소차량 운전자는 작업 인원이 매달리거나 적재함에 타고 있을 경우 운행해선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부는 환경미화원의 안전을 위해 2018년부터 저상형의 ‘한국형 청소차’ 보급을 추진해 왔다. 운전석과 수거함 사이에 낮은 높이의 별도 탑승공간을 마련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든 차량이다. 그러나 저상형 청소차 보급률이 상당히 낮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 4월 기준 81대에 불과하다. 1월 기준 도내 생활폐기물 차량이 3천386대인 것을 감안하면 보급률은 2.39%에 그친다.

 

저상형 보급률이 저조한 주된 이유는 작업자들이 차량 승하차 시 작업 속도가 느려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도 이런 상황을 인식하고 있지만 나 몰라라 하고 있다. 청소차량 뒤 발판에 매달려 이동하는 게 위험하고 불법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방관해선 안 된다.

 

무엇보다 환경미화원들의 안전이 우선이다. 정부가 내놓은 작업안전 개선대책이 무용지물이라니 황당하다. 환경미화원 안전사고 발생 건수를 2022년까지 90% 이상 줄인다고 했지만, 사고 통계를 보면 개선대책 발표 이전과 달라진 게 거의 없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저상형 청소차 보급 확대에 속도를 내야 한다. 작업의 실효성은 안전 다음이다. 더 이상 차량 뒤편에 목숨 걸고 매달려 다니는 환경미화원이 없게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