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도치과의사회, ‘구강건강관리’ 정책토론회

“구강정책 관련 조례 수정해야”

image
4일 오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 구강건강관리 현황과 개선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치과의사회 제공

 

경기도의회는 4일 오후 2시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구강건강관리 현황과 개선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경기도민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 등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엔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경기도의회 의원, 경기도치과의사회, 경기도 건강증진과, 보건교사 및 학부모가 참석해 도의 구강건강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이선장 경기도치과의사회 부회장은 ‘경기도 치과주치의 사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 부회장은 “초등학생 학년을 확대하는 등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또 만 64세 이상의 인구가 2040년 전체 인구의 34.4%, 2070년에는 46.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 치과주치의 시범사업’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장애인 치과주치의 사업’ 등을 시행해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구강보건 담당관이나 전담부서도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숙 경기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군포3)은 ‘경기도 구강보건 발전을 위한 경기도의회의 역할’을발표하며, 청소년 구강건강 관련 사업에 대한 경기도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옥분 도의원(더불어민주당·수원2)은 현장의 목소리가 담긴 내용으로 학생주치의 사업, 구강정책 관련 조례 등을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문가 단체가 포함된 자문위원회가 상시 운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밖에 최은화 오산 성호초등학교 보건교사가 ‘학교 구강보건 실태와 개선방안’을, 이유리 수원 다솔초등학교 운영위원장과 권정현 경기도 건강증진과장이 ‘경기도 내 구강건강관리 현황’에 대해 발표하며 도민들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열띤 토론의 장을 만들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