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어보 표구 공예작가 안경암 명인
“명성황후 탄신 173주년을 기념해 최초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어보(御寶)를 찍은 보영(寶影)을 작품화 해 명성황후의 고향 여주에서 전시하고 싶습니다.”
말 편자 표구공예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해 온 안경암 작가는 조선왕조 어보와 보영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킨 작가다.
어보는 왕과 왕비의 도장으로 201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문화 유산에 등재된 조선왕조 왕권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왕과 왕비의 사후 종묘에 신위와 함께 모셔졌다. 어보는 의식용으로 쓰였으며 인면(印面·도장에서 글자가 새겨진 면)에 왕과 왕비의 시호, 존호, 묘호, 휘호 등을 새겼다.
최근 안 작가는 명성황후 어보 10과(顆), 고종황제 어보 9과를 병풍과 표구공예작품 50여점으로 완성했다. 전통유산이자 보물로 지정된 어보가 현대적 콘텐츠로 새롭게 태어난 것이다.
그는 이 작품들을 세종대왕과 명성황후 고향 여주에서 처음 공개하길 희망했다. (사)명성황후기념사업회와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 측과 황후 생가에서 작품 전시를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조선시대 어보는 총 368과이며 이 중 39과가 소재 불명으로 현재는 329과가 있다. 안 작가는 어보 원본 모양을 디지털화해 그래픽 아트 작품으로 만들었다.
안 작가는 500년 조선 왕권의 상징인 어보 작품전을 통해 우리 소중한 보물을 후손과 세계인들에게 보여주길 바랐다.
그는 “우리 조상의 예술성과 창의성, 위대함을 다양한 형태의 공예작품(표구)으로 승화시켜 국민적인 관심을 환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다”고 말했다.
안 작가는 “조선시대 왕비 중엔 여흥 민씨와 청주 한씨의 왕비들이 많다. 여주와 청주에서 지속적인 전시를 통해 조선시대 어보의 위대함을 널리 홍보하고 싶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