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없어 이용 어려워… 실효성 의문 수원 등 일부 지자체는 지원도 ‘전무’ “혜택 알면 방문 늘고 지역경제 보탬”
경기도내 지자체가 상호 교류·협력을 위해 꾸준히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있지만 자매도시 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 없어 유명무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도내 각 지자체는 자매도시 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에게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자매도시 주민을 위해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명소 입장료나 숙박업소 등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자매도시 간 혜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미흡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군포시의 경우 지난 1998년을 시작으로 예천군, 무안군, 양양군, 부여군, 청양군 등 전국 5개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관광지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군포시청 자매도시 소개란 어디에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안내 사항이 없다. 게다가 자매도시인 양양군에 방문한 군포시민을 위해 오산리 선사유적 박물관의 관람료와 낙산사 입장료를 면제해 줬지만, 현재는 두 곳 모두 입장료 및 관람료가 무료로 전환되면서 자매도시 혜택이 사라졌다.
안양시도 강원도 영월군과 자매결연을 맺고 자매도시 주민을 위해 농촌체험프로그램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영월군에 있는 요선마을과 예밀 포도마을 등에서 숙박과 체험 등에 10~2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시청과 관광지 홈페이지 어디에서도 이에 대한 안내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제휴 혜택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매도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 간 관련 법령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원특례시는 제주시, 포항시, 전주시, 논산시 등 4개의 자매도시와 교류를 하고 있지만 시민 혜택은 전무하다.
전문가들은 자매도시 간 교류·협력을 넓힐 수 있도록 시민들을 위한 혜택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휘문 성결대 행정학과 교수는 “‘자매도시’ 취지에 맞도록 관광지 할인 등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며 “온라인을 통한 홍보방안을 마련해 자매결연 도시와의 혜택을 알리면 양 지자체의 시민 방문이 늘고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자매도시 간 혜택 제공 가능 여부 및 제공 범위 등에 대해서는 조례 개정이 필요해 보인다”며 “교류 중인 각 도시와 협의를 통해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혜택을 발굴해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