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모든 시내버스 친환경 버스로 전환

친환경 차량 교체시 효과 이미지. 경기도 제공
친환경 차량 교체시 효과 이미지.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오는 2033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친환경 차량으로 바꾼다.

 

도는 15일 ‘경기 RE100’ 수송부문 정책의 하나로 시내버스를 친환경 차량으로 바꾸는 ‘친환경버스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도내 전역 시내버스는 1만900대가 운행 중이지만 8천131대(76%)가 경유, CNG(천연가스) 버스로 온실가스 배출의 작지 않은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도는 앞으로 9년간 순차적으로 차량 내구연한이 지나는 대로 모두 친환경버스로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환경부의 탄소감축 규제를 받지 않는 3천548대까지도 재정 투입을 통해 전환을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한국환경공단의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사업별 감축원단위 적용 가이드라인(2022년 6월)’을 근거로 볼 때 CNG버스를 기준으로 1만900대가 전기버스로 전환될 경우 연간 43.6만t CO2eq(이산화탄소환산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는 1대당 40t CO2eq 감소하는 것으로 매년 소나무 312만그루를 심는 효과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또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공공버스 전기버스 전환 정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상수 도 교통국장은 “도의 민선 8기 RE100 수송부문 정책 추진은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반드시 추진해야 할 정책”이라며 “이번 친환경버스 전환 계획에서 나아가 수소버스 확대, 공공버스의 경제적 운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