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어려운 경기도내 산업기술인력, 중장기적 관점에서 양성해야”

경과원이 15일 발간한 ‘경기도 산업기술인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경과원 제공
경과원이 15일 발간한 ‘경기도 산업기술인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경과원 제공

 

경기도 산업기술인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과원은 15일 ▲중장기적 정책 시행 ▲산업 성장주기 고려 정책 ▲독자적인 인력 양성 정책 추진 ▲일자리 미스매치 발생 대안 마련 등 산업기술인력과 관련한 4대 정책 과제를 발표했다.

 

경과원은 양성 기간이 길고 다른 산업과 대체가 어려운 산업기술인력의 특성을 고려, 중장기적인 정책 시행을 강조했다.

 

또 도가 산업기술인력 분포 특성에 맞춘 ‘경기도형 인력 양성’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일부 산업은 성장주기가 있기에 인력 양성의 차별화를 주문했다. 여기에 도내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인원은 1만716명(부족률 2.1%)로 집계된 만큼 채용기업과 구직작 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대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런 가운데 경과원은 ‘경기도 산업기술인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2년 기준 도내 산업기술인력은 총 49만5천288명으로 전국(169만9천674명)에서 가장 많은 29.1%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30~40대가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70.1%를 기록했고 남성은 86.6%, 여성은 13.4%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전자 7만456명 ▲연구개발업 6만3천565명 ▲기계 3만9천241명 ▲화학 3만3천499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3만1천165명 ▲자동차 2만8천713명 등으로 조사됐다.

 

산업별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부족률은 ▲목재·나무제품 제조업 11.0% ▲가구 제조업 10.1% ▲화학 5.0% ▲섬유 4.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강성천 경과원장은 “우리나라 주력산업 대부분이 기술기반 산업인 것을 감안할 때 양질의 산업기술인력 양성과 확보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