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비 학령인구가 10만명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는 19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9일 전국 유·초·중등·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교육 기본 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4월1일 기준 유·초·중·고교생은 568만4천745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578만3천612명보다 9만8천867명 감소한 수치다.
학생 수는 지난 1986년 1천31만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1990년 1천만명 아래로 떨어졌고 2021년에 600만명대가 무너지는 등 19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중학생, 고등학생은 늘었으나 2010년대 중후반 이후 속도가 붙은 저출생 여파로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의 감소세가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생은 49만8천604명으로 지난해 대비 2만3천190명(4.4%) 줄었고, 초등학생은 249만5천5명으로 10만8천924명(4.2%) 감소했다.
반면 중학생은 133만2천850명으로 6천19명(0.5%), 고등학생은 130만4천325명으로 2만6천56명(2.0%)이 각각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초·중·고교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커지고 있다.
다문화 학생은 19만3천814명으로 1만2천636명(7%) 증가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며 전체 학생 대비 다문화 학생 수 비율은 3.8%를 차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