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폭력 39.4% 최다… 딥페이크 피해도 늘어
학교폭력 피해를 봤다고 답한 초·중·고교생이 4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실시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와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1차 전수조사는 초4~고3 학생 398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2차 표본조사는 초4~고2 학생 중 표본 4%(약 19만명)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은 2.1%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2018년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확대되며 2020년 0.9%까지 떨어졌지만, 대면수업 재개 이후 2021년 1.1%, 2022년 1.7%, 2023년 1.9%, 2024년 2.1%로 4년 연속 높아졌다.
피해 유형 중에서는 언어폭력이 3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신체폭력 및 집단따돌림이 각 15.5%, 사이버폭력 7.4%, 성폭력 5.9%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딥페이크 합성물 유포 등이 해당하는 사이버폭력 응답률이 전년 대비 0.5%포인트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사이버폭력의 경우 초등학생(6.3%)과 중학생(9.2%)보다 고등학생 피해 응답률이 1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 유형별로는 사이버 언어폭력 38.1%, 사이버 명예훼손 16.6%, 사이버 따돌림 16.1% 순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