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딥페이크 피해 학생 늘어…누적 피해 학생 814명

지난 25일 딥페이크성범죄아웃공동행동이 국회 앞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방지법 개정안 관련 여성가족위원회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5일 딥페이크성범죄아웃공동행동이 국회 앞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방지법 개정안 관련 여성가족위원회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딥페이크’ 성 착취물 피해 학생이 일주일 사이 10명 늘어났다.

 

14일 교육부가 공개한 ‘학교 딥페이크 허위 영상물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11일까지 딥페이크 피해 학생은 누적 814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직전 조사 때(지난 4일 기준) 보다 학생 피해자 수가 10명 증가한 수치다. 교원 피해자는 33명, 직원 등 피해자는 3명으로 일주일 전과 같은 수준이다. 학교·교직원 총 피해자는 850명이다.

 

교육부는 ‘딥페이크’ 성 착취물이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 등을 통해 유포되며 논란이 일자 17개 시도 교육청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피해 현황을 조사해왔다.

 

1차 조사(8월27일) 결과 196명이었던 피해자는 2차 조사(9월6일)에서 421명이 추가됐다.

 

3차 조사(9월13일)에선 105명, 4차 조사(9월27일) 111명으로 100명이 넘게 늘었으나 5차 조사(지난 4일) 때는 7명 늘어나며 증가세가 급격히 꺾였다.

 

이는 대부분 피해 사례를 앞선 조사에서 교육 당국에 알렸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딥페이크 관련 피해 신고는 누적 516건으로 7건 늘었으며 수사 의뢰는 10건 증가한 432건으로 확인됐다. 영상물 삭제 지원을 연계한 건수는 누적 230건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