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등 미조치… 발암물질 노출 파주교육지원청 “하자 보수 요구”
최근 파주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에서 석면 추정 잔재물이 다수 발견된 가운데 두 달 전 작성한 ‘석면해체작업 감리완료보고서’에는 석면잔재물이 없다는 내용으로 관할 지자체에 제출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파주교육지원청은 석면 추정 잔재물이 발견된 사실에 대해 인지했으면서도 석면조사 및 추가 청소 등의 조처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 등에 따르면 파주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는 지난 8월15일부터 18일까지 학교지원센터 내 화장실 등 일부 구역(총면적 1천155㎡)의 석면해체 공사를 진행했다.
이후 8월28일 파주교육지원청은 관할 지자체에 석면잔재물이 잔류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석면해체작업 감리완료보고서’를 제출했다. 당시 작성된 보고서에는 석면의심 건축자재가 없다고 명시돼 있다.
그런데 지난 5일 학교지원센터 1층에 생긴 곰팡이를 제거하는 청소 과정에서 석면 추정 잔재물이 다수 발견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파주교육지원청은 청소업체로부터 해당 사항에 대해 전달받았음에도 석면조사를 의뢰하지 않은 채, 석면해체작업을 진행했던 업체에 석면 추정 잔재물을 폐기해달라고 지시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파주교육지원청은 1층 청소 과정에서 석면으로 의심되는 물질이 한가득 나왔음에도 2층, 3층, 옥탑계단 등에 추가적인 조치를 하지 않았다.
김숙영 정치하는 엄마들 석면 활동가는 “파주교육지원청은 석면해체공사 감리완료보고서의 적정성에 대해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사인만 한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1일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석면해체공사 당시 보양작업을 한 석면폐기물이 발견됐다”며 “이곳을 방문하는 수십명의 학생과, 60여명의 직원은 두 달 동안 발암물질에 노출돼 있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파주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석면해체 공사 진행 후 공기질 측정을 했을 때 기준치 이내였기 때문에 당시 감리완료보고서는 문제가 없었다”면서도 “석면 추정 잔재물이 발견된 만큼 해당 공사업체에 하자 보수 조치를 요구했으며, 추가 검사 및 청소를 진행할 예정”라고 해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