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에 1만여명 달할 전망...사상자자 다수 발생 가능성 북한 당국 "파병군인 가족 집단·이주 격리"
러시아로 이동한 북한 병력이 현재까지 3천여명으로 파악됐으며 오는 12월께는 1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북한군이 현대전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부족, 대규모 사상자를 낼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국회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23일 열린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서 조태용 국정원장이 이같은 내용의 이같은 내용의 북한군 러시아 파병 동향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러시아로 이동한 북한 병력 규모가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된 1차 수송 이후 1천500여명이 늘어 현재 3천여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박 의원은 "국정원은 12월이면 1만여명이 투입될 것이라는 상당히 근거 있는 첩보를 제시했다"면서 "러시아로 이동한 북한군이 현재 다수 훈련시설에서 분산돼 현지 적응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고 했다.
국정원은 "러시아 교관들은 파병 북한군의 체력과 사기가 우수하지만 드론 공격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전선 투입 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파병 대가는 1인당 월 2천달러 수준"이라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또 러시아 군 내부에서 한국어 통역 자원을 대규모 선발하는 동향을 파악했고, 북한군을 대상으로 군사 장비 사용법·무인기 등 특수교육도 진행했다고 보고했다.
이와 관련, 북한 당국은 파병 사실을 일절 외부에 알리지 않고 있지만 점차 소문이 유포되면서 철저한 입단속과 파병군인 가족에 대한 효과적 통제·관리를 위해 이들을 모처로 집단 이주·격리하는 정황도 있다고 했다.
국정원은 파병 의도에 대해선 북러 군사동맹 고착화, 유사시 러시아의 한국 개입 유도, 경제난 돌파구 마련, 군 현대화 가속 필요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 의원은 "(러시아가 북한에) 파병 대가로 당연히 경제적으로 상응하는 대가를 치를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파병 북한군이 탈영했다는 현지 매체 보도에 대해선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