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폭파한 동해선과 경의선에 전차를 막는 용도의 구조물을 설치한 것과 관련해 군은 “군사적 효용은 없다”고 밝혔다.
4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달 15일 동해선과 경의선 폭파 이후 지난 1일까지 약 2주간 매일 300∼400명의 인원과 중장비를 투입해 작업을 이어왔다.
해당 작업을 통해 동해선과 경의선에 나란히 전차 기동을 차단하기 위해 판 구덩이를 뜻하는 ‘대전차구’와 토산(성토지)이 생겼다.
군 당국에 따르면 동해선에 설치된 대전차구는 폭 160m, 길이 10m, 깊이 5m 규모로, 구조물 북측에는 높이 11m의 토산이 축조된 것으로로 파악됐다. 경의선 대전차구는 동해선과 크기가 비슷하고 깊이는 3m 수준으로 더 얕으며 역시 대전차구 북쪽에 있는 토산은 좌우 120m, 앞뒤 50m, 높이 11m 규모로 확인됐다.
특히 북한은 지난 1일 동해선 토산 위에 인공기를 게양하고 사진을 촬영한 후 즉시 인공기를 철수하는 모습이 우리 군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양측 토산에는 수목이 식재된 것으로 관찰됐다.
군 당국은 “북한이 유사시 토산에 있는 흙을 앞쪽의 대전차구에 밀어 넣는 식으로 단시간에 메울 수 있어 전쟁 장애물로서의 실효성이 없다”면서 “전체적인 작업 공정이 (이곳이) 자기 땅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보여주기식 쇼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지난 1일부로 해당 작업을 마무리했으며 현재 두 지역 모두 작업 인력이 철수한 상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