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내버스 지속 가능한 운영’ 위한 토론회 개최…“버스요금관리시스템 마련 필요”

7일 오후 2시께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경기시내버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김익기 한양대 물류공학과 명예교수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7일 오후 2시께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경기시내버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김익기 한양대 물류공학과 명예교수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내 시내버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목적으로 열린 토론회에서 버스요금관리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중교통포럼은 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경기시내버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익기 한양대 물류공학과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은 이번 정책토론회에서는 고준호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다. 토론자로는 박경철 경기연구원 박사, 정재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전무, 손철옥 경기도소비자단체협의회장, 이영주 경기도의원(국민의힘·양주1), 배순형 도 버스정책과장이 참석했다.

 

고준호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도 시내버스가 도민의 이동성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 도의 지속적인 재정투입, 버스운수업체의 경영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며 “운전자 인건비 상승, 신도시 건설 등으로 인한 시내버스 서비스 확대에 대한 요구 등을 감안할 때 일정 부분 요금 인상의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정재호 전무는 버스 운영의 안정화를 위해 버스요금의 적정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하는 버스요금관리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영주 의원은 도 행정의 이원화로 구조적인 문제에서 오는 한계에 관해 설명했다. 이 의원은 “도민의 눈높이인 서울에 맞춰 버스 서비스를 높이는 것은 도시밀도가 낮은 도에서 어려움이 있다”며 “지자체 차원을 넘어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와 관련, 배순형 과장은 “도는 재정지원의 한계로 지난해 버스업계에서 요금 조정을 공식적으로 건의해 현재 버스요금인상 검증 용역을 시행 중”이라며 “여러 의견과 근거로 신중하게 요금 조정 여부를 검토하고 버스 서비스 개선을 위해 종합적인 관리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