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언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

이창언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안노연기자
이창언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안노연기자

 

“ESG는 규제, 투자자의 요구, 평가를 받기 때문에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됐습니다.”

 

이창언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56)은 가까이는 지역에서부터 멀리는 외국에 이르기까지 치열하게 20년 가까이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와 ESG(환경·사회·거버넌스)경영 분야를 연구해 온 명실상부 국내 최고 전문가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에서 연구교수를 거쳐 난징대 정부관리학원에서 공공정책학을 전공하며 한중일 3국의 SDGs·ESG 비교 연구를 했다.

 

현재 신경주대 SDGs·ESG경영학과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편집위원장 등을 맡아 관련 분야 연구와 저술에 힘쓰고 있는 동시에 고향인 평택에서 평택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자문위원, 평택시SDGs·ESG포럼 연구교육위원장으로서 지역에서 관련 강연, 포럼, 학술대회 등을 개최하는 등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가 왕성하게 활동을 이어오는 이유는 하나다. 현재 기후 위기와 격차 심화 등 전 지구적으로 처한 위기의 해법이 SDGs, ESG경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현재 사회는 지속이 불가능한 심각한 시대”라며 “현 세대도 행복해야 하지만 다음 세대에게 깨끗한 환경과 더불어 사는 세상, 협동하는 세상을 물려주고 싶은 마음”이라고 말했다.

 

매년 유엔이 발표하는 ‘지속가능발전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33위를 차지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G20 국가 가운데선 하위권이다.

 

그는 “국내 지자체 차원에서 SDGs는 활성화됐지만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부족하다”며 “유럽이나 일본의 경우 중앙정부 주도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함께 SDGs를 실행하기 위한 법과 제도, 실행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미진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2024년 유엔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준이라면 한국은 2030년까지 전체 목표의 16%밖에 달성하지 못한다”며 “기후 문제 등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자 지금보다 더 나쁜 세상에 직면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ESG경영 분야도 미진하다. ESG 경영 공시 로드맵이나 관련 법과 제도가 정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국도 국가적 차원에서 ESG경영 공시를 대비 중이지만 한국은 아직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위원장은 “올해 유럽연합(EU) 공급망 실사지침이 발효되면서 ESG경영 공시를 대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라며 “ESG경영 공시 기준에 맞추지 못하면 물건을 팔지 못하거나 벌금이 부과되는 등 수출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속가능한 사회가 만들어지기 위해선 정부, 시민사회, 기업, 대학의 상호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각자 지닌 긍정적인 능력을 활용해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고 인간 사이 협력을 통한 미래사회를 만들어갔으면 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