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서 출몰, 인명·재산 피해 잇따라...유기동물 등 신고 통계 부실 위험 방치 전문가 “시스템 구축·관련 조례 제정을”
최근 야생동물이나 유기된 동물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가 곳곳에서 속출하고 있다. 광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경기도 역시 고라니, 멧돼지 등 야생동물과 농장에서 탈출한 사슴 등으로 인해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포획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지는 도내에서 야생동물과 유기동물로 인한 피해 예방 및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진단하고 가능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1. 지난 6일 오전 1시께 수원특례시 영통구 광교호수공원. 인근 농장에서 탈출한 사슴이 나타나 귀가하던 30대 남성 최모씨를 뿔로 찔렀다. 해당 사슴은 같은 날 오전 5시께 장안구 광교저수지로 이동, 산책로를 걷던 60대 여성의 양쪽 허벅지도 뿔로 찔러 중상을 입혔다. 추적 끝에 사슴은 지난 9일 오전 9시께 장안구 광교동 한 농장에서 생포됐다.
#2. 지난달 24일 오전 7시10분께 경기 광주시 농평동 빌라촌에 멧돼지가 출몰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출근 및 등교 시간대임을 고려해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 실탄 3발을 발사해 멧돼지를 현장에서 사살했다.
경기도내 야생동물과 유기동물에 의한 인명·재산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며 도민들의 안전이 위협 받는 가운데 관련 통계조차 부실, 사실상 위험에 무방비로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와 경기소방재난본부 등 지역 기관들은 현재 야생동물 및 유기동물에 대한 출현 신고 건수나 피해 현황 등을 별도로 집계하지 않는다. 관련 통계는 피해 유무가 불분명한 경기소방재난본부에서 집계한 ‘연도별 도내 야생동물 구조 건수’가 유일하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도내 야생동물 구조 건수는 지난 2019년 1만8천484건을 시작으로 ▲2020년 1만8천270건 ▲2021년 1만8천280건 ▲2022년 1만7천519건 등으로 집계되다 지난해 2만2천415건으로 1년 사이 5천건 가까이 급증했다. 이를 통해 야생동물 출현과 피해 현황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유추만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도내 어느 지역에서 얼마나, 어떤 동물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지 소방이나 지자체 모두 집계하지 않고 있어 출몰 지역에 대한 대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지자체마다 야생동물 및 유기동물 피해를 막기 위해 실시하는 활동이 주의 안내 현수막이나 표지판 설치에 그치고 피해 보상도 ‘야생동물 피해보상 조례’가 제정돼 있지 않은 지자체가 도내에만 11곳에 달하는 등 부실한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지자체 관계자는 “관련 피해가 보고돼 이전에 차단막을 설치하기도 했지만 올해는 관련 예산이 배정되지 않아 멈춘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피해 예방을 위해 신고가 자주 들어오는 지역을 대상으로 주의 안내 표지판을 설치해 위험성을 알리는 것 밖에 별다른 방안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지자체에서 피해 규모와 피해 빈도 수 등 야생동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전반적인 정보를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며 “이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야생동물 예방 시스템을 구축,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관련 조례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