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 파괴로 ‘불편한 만남’… “전문가들 공존 모색해야” [집중취재]

개발 이전 단계서 서식지 보전 논의
각 지자체마다 전담기구·관리 확대
유기동물 야생화 방지 대책도 필요

image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부실한 통계 및 피해 예방 대책으로 인해 도내 곳곳에서 동물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서식지 보호 대책 마련, 전담 기구 및 관리 시설 확대 등 이들과의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

 

동물단체들은 야생동물들이 도시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로 사람과의 생활 반경이 겹치고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에 먹이 활동이 왕성해 지면서 생활 반경이 넓어지게 돼 출몰 빈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지우 동물행동권 카라 활동가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우리가 사는 모든 땅들은 원래 동물들이 살던 곳인데 계속되는 개발로 인해 사람이 사는 곳으로 변해 있다. 여러 이유로 동물들이 자신이 살던 곳으로 내려오는 일이 잦아질 수밖에 없다”며 “이들을 포획하고 보호하는 데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공존을 위한 본격적 인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도내 각 지역마다 어떤 야생동물이 어디서, 얼마나 서식하는지 점검하고, 개발 이전 단계에서 서식지 보전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장은 “현재 도시 개발 과정에서 해당 지역에 어떤 야생동물들이 있는지 고려되지 않고 있어 공존보다는 본 서식지를 인간이 밀어내고 배척하는 ‘불편한 만남’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각 지자체마다 고라니, 멧돼지 등 야생동물들의 주된 이동 경로를 파악해 인간들이 다니는 길과 분리하는 등 점검에 나서고 전담 기구의 설치와 관리 시설 인력 확충 등 추가적인 조치가 이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유기동물의 경우 야생화 방지 대책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전문가들은 ▲2021년 8만4천723마리 ▲2022년 8만393마리 ▲2023년 8만467마리 등 매년 8만마리 가량이 구조되는 유기견을 위한 정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조되지 않고 방치된 유기견들이 세대를 거쳐 야생화가 진행되면 공격성이 강한 ‘들개’로 변해 인명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고재관 코리안독스 동물보호운동가는 “해마다 버려졌다가 구조된 유기견이 8만마리에 달하고 구조되지 못한 강아지까지 고려하면 들개 수는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중성화 수술 확대와 동시에 유기 방지를 위한 동물등록제 및 입양을 원하는 자들에 대한 요건을 강화하는 등 들개 수 감소를 위한 정책이 확보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