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회, 교산지구 개발 명품화 지원 탄력

하남시의회 금광연 의장이 교산지구 재정착위원회 위원들과 간담회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하남시의회 제공
하남시의회 금광연 의장이 교산지구 재정착위원회 위원들과 간담회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하남시의회 제공

 

정부의 3기 신도시로 개발되는 하남 교산지구 수용 원주민들을 위한 지구 내 재정착 지원 행보가 탄력을 받고 있다.

 

하남시의회 금광연 의장은 하남시 교산지구 재정착위원회(위원장 장준용)와의 간담회를 통해 명품 교산지구 개발을 위한 논의를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하남시의회 최훈종 도시건설위원장과 하남도시공사 관계자 및 교산 재정착위원회 위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는 서울~양평고속도로 지하화를 비롯해 ▲만남의광장 복합환승센터 및 UAM(도심항공교통센터) 설치 ▲덕풍천 호수공원 설치 ▲대토 용적률 상향 ▲전통 주거지와 문화단지(향교 등)를 연계한 관광 인프라 조성 등이 의제로 제시돼 논의됐다. 특히 ‘원주민 권익보호와 대토공급용지 용적률 상향’ 등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과 농업인들을 위한 ‘스마트팜’ 조성사업 논의가 심도 있게 이어졌다.

 

금광연 의장은 “교산신도시 명품화를 위해 원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은 필수사항”이라며 “미사·감일·위례신도시 개발에 따른 기반시설 부족, 주차장 부족, 과밀학급 문제 등 과거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교산신도시는 지구단위계획 단계부터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공공주택지구 개발은 성냥갑 같은 주거단지, 직주근접의 측면만 부각돼 왔으나 앞으로는 도시의 허파 기능을 하는 산책로, 둘레길, 호수공원 등이 어우러져 옛 고을의 향기가 스며든 ‘사람 사는 도시’, ‘인간미 있는 도시’로 방향을 설정해 원주민의 정주여건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훈종 도시건설위원장은 “대토 문제 등이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힘이 돼 드릴 수 있는 부분은 앞장서겠다”고 했다.

 

한편 하남시의회는 지난 7월 금 의장 주재로 교산 재정착위원회 1차 간담회를 갖고 공동주거단지 조성 논의, 명품 교산지구 개발을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 등을 제시하면서 상호 교류를 약속한 바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