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내버스 ‘삼중고’.... 운영난 허덕 ‘운행 경고등’

운송수지 적자·승객 감소
운수종사자 부족 어려움
조합, 근복적 대책 ‘SOS’

경기도 한 시내버스 차고지. 경기일보DB
경기도 한 시내버스 차고지. 경기일보DB

 

경기도 시내버스 운영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운송수지 적자와 승객 감소, 운수종사자 부족 등 삼중고로 시내버스의 안정적인 운행이 흔들리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25일 경기도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조합)에 따르면 물가와 임금 인상 등으로 지난 2019년 약 1조9천억원이던 운송원가는 2022년 2조1천300억여원으로 약 12% 증가했다. 반면 코로나19 여파로 요금 수입은 급감해 2019년 1조5천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0년 1조1천50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이후 2022년 1조2천500억원, 지난해 1조3천200억원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재정난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에 시내버스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요금 인상과 운수종사자 확보, 재정지원 확대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8개 업체가 노선, 차량, 부동산 등 약 2천340억원의 자산을 매각했으며 대주주 사재 1천360억원을 투입했다. 대출 규모도 2022년 기준 약 5천250억원으로 늘어나며 업계의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운수종사자 문제도 심각하다. 도에는 원활한 운행을 위해 약 3만명의 운수종사자가 필요하지만 현재 도내 운수종사자는 2만2천여명만 확보돼 있다. 특히 확보된 종사자의 77%는 50세 이상으로 고령화 문제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조합 관계자는 “버스업계도 경영 효율화를 통해 원가 절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를 통해 도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시내버스의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시내버스 노선 감축이 불가피하고 고령층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준호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는 “지자체의 재정지원과 업계의 경영 개선 노력만으로는 한계”라며 “적정한 요금 인상과 대중교통 이용자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