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의회, 시 행감서 군 공항 이전 ‘집중 질의’

경기국제공항·군 공항 병행 모호… 확인 필요

수원시의회 청사. 수원시 제공
수원시의회 청사. 수원시 제공

 

수원특례시의회가 25일 진행된 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 최대 현안인 ‘수원 군 공항 이전’ 사업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집중 질의했다.

 

앞서 경기도는 국방부 ‘군 공항 단독 예비 이전 후보지’로 지정된 화성 화옹지구와 평택, 이천 등 세곳을 ‘경기국제공항’ 후보지로 지정했지만 ‘군 공항 없는 민간공항’ 사업 형태도 고수, 시 사업과 상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열린 시 미래전략국 행감에서 시의회 도시미래위원회 소속 김동은 의원(민주당)은 “도의 ‘국제공항 유치 및 건설 촉진 지원 조례’를 보면 군 공항은 제외한다고 명시돼 있다”며 “경기국제공항은 군 공항과 함께할 수 없는 것인지 모호하다. 세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렬 의원(민주당)은 “현재 시는 2034년까지 (민·군통합)국제공항을 완성한다는 계획이지만 상황에 성과가 거의 없어 보이는 게 문제”라며 시에 대응 계획을 질의했다.

 

오민범 미래전략국장은 “시가 공식 추진하는 사업은 군 공항 이전이며, 국방부가 화옹지구를 예비 후보지로 선정한 이후 상호 의견을 조정 중인 상태”라며 “경기국제공항은 도가 용역을 진행하고 결국 국토교통부가 진행하는 사업이다. 모두 고려하면서 군 공항 이전을 강하게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답했다.

 

이찬용 도시미래위원장(국민의힘)은 수원 군 공항 이전과 동시에 시작한 광주 군 공항 이전, 대구경북신공항 등 유사 사업이 훨씬 빠른 진척을 내는 점을 지적, 시에 사업 지체 이유를 물었다.

 

이에 대해 이준재 시 공항이전과장은 “사실 수원 군 공항 이전은 대외적으로 좋은 조건과 입지로 기대를 모았지만 군 공항에 따른 우려가 해소되지 못한 영향”이라며 “도의 입지 조건 연구 결과를 잘 검토해 대상 지역 주민과 적극 소통,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