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심사?…연기된 ‘경기형 과학고’ 예비지정에 지자체들은 ‘당혹’

도교육청, 심층질의 신설... 예비지정 심사 내달 유예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도교육청 제공

 

오는 30일 신규 과학고 예비 지정을 예고한 경기도교육청이 평가 방식을 변경하겠다며 결과 발표를 돌연 연기, 기존 방식에 맞춰 예비 지정을 준비해오던 지자체와 지역 교육지원청들이 당혹감을 내비치고 있다.

 

26일 도교육청은 기자 간담회를 열고 과학고 예비지정 심사를 다음 달 초로 미루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평가 방식도 ‘서류 심사 → 1단계 예비지정 결과 발표’에서 심층 질의 단계를 신설한다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앞서 심사위원 사전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 기존 방식대로 서류만 심사할 경우 세부적인 평가가 어렵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고 평가 방식 변경 취지를 전했다.

 

지자체와 교육지원청 실무자가 직접 도교육청에 과학고 유치 취지와 교육 연계 방안을 제시해야 평가에 공정성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도교육청 발표에 과학고 추가 유치를 준비하던 12개 지자체와 교육지원청은 갑작스레 추가 과정에 임해야 하는 상황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도내 한 교육지원청 관계자 A씨는 “도교육청이 전날(25일) 오후에서야 평가 방식이 바뀌었다는 공문을 보냈다”며 “급하게 기존 자료에 더해 심층 질의 준비를 위한 추가적인 준비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실무자 B씨는 “예비 지정 결과 발표에 맞춰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둔 상태인데, 도교육청이 일방적으로 평가 방식을 바꿔 기존 자료를 재검토하는 중”이라며 “도교육청은 공정성 제고를 이유로 들었는데, 평가 방식을 갑자기 변경해야 할 정도로 급박한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도교육청의 급박하고 일방적인 평가 기준 변경이 향후 법적 다툼의 여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법적 하자 여부를 점검하는 한편, 지자체 및 교육지원청과 소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과학고 유치를 준비하고 있는 지자체와 교육지원청에 평가 방식 변경 관련 안내를 충분히 진행하고 있다”며 “심사 공정성 강화를 위한 대책도 계속해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