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가 광명시공익활동지원센터와 ㈔경기시민연구소 울림과 함께 공익활동 활성화와 사회적 인정을 위한 ‘공익활동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지난 27일에 열린 컨퍼런스는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공익활동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공익활동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인정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점을 환기하고 사회적 인정 방안 마련과 중간 지원조직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박영선 한양대제3섹터연구소 교수가 광명시 공익활동 인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공익활동의 가치와 사회적 인정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광명시 지역 내 공익활동가 2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익활동 인식조사’ 결과는 광명시 공익활동의 생태계를 이해하는 지표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응답자의 다수가 급여를 받지 않는 활동가로 나타나 이들이 지속적으로 공익활동을 이어가고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정과 지원을 위한 시민사회의 집합적 노력의 필요성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박 교수는 해외의 공익활동 인정 사례를 소개하며 정책과제로 공익활동의 사회적 가치확산, 사회적 인정 방안의 다양화, 공익활동가의 사회적 기여 확대, 제도적 기반 마련, 사회적 인정 인프라 구축을 제시했다.
조철민 ㈔시민의 박사는 ‘경기도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공익활동지원센터 비전전략체계 수립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민과 단체의 공익활동을 연결하여 공익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광역센터의 역할을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 박문경 전 활동가는 사회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공익활동가들의 사회적 자부심을 채워주는 대안 마련과 활동가들을 위한 사회시스템 개선, 공간 마련, 역량 강화 지원이 센터의 역할이며 시민단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송원찬 ㈔경기시민연구소 울림 공동소장은 먼저 사회적 인정을 위해 법적·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며 시민사회발전기본법(가칭) 제정과 인식 교육, 사회적 예우 강화, 경력인정 체계의 확보,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에 사회적 인정 체계 구축이 포함되도록 개정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유명화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장은 “공익활동의 정의를 하나의 문장으로 정리하는 것은 오히려 공익활동에 대한 상상을 좁힐 수도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공익활동에 대해 생각하고 실천하고, 실천들이 공익활동으로 의미화되는 것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효과적이”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공익활동의 사례를 드러내고 의미화함으로써 공익활동의 정의를 채우고 확장하는 것이 센터의 역할”이라면서 “공익활동과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해 공익활동의 가치와 사회적 인정 방안에 대해 공론화하는 역할은 물론 실질적인 제도와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관련 논의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현장에 기반한 제도와 정책 제안을 위한 연구조사도 지속적으로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