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사, 변경된 사업계획 추진 시... 2천억원대 공유재산 제공 ‘협약’ 주민 반발에 시의회 의결 불투명, 개발지연 불가피… 市 “의결 최선”
부천 상동 홈플러스 주택건설사업이 공공건물 기여를 놓고 시와 주민 갈등으로 개발 속도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행정 신뢰도 추락이 우려된다.
시행사도 용적률 상향에 따른 사업계획 변경 승인 절차가 늦어져 금융비용만 부담하는 처지에 놓여 고래싸움에 새우등이 터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9일 시와 시행사인 ㈜미래도시 등에 따르면 ㈜미래도시는 애초 상동 540-1번지 대지 3만5천474㎡에 용적률 792.99%로 공동주택(아파트 936가구)과 업무시설(오피스텔 917가구) 및 부대·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등이 들어서는 지하 7층, 지상 47층 8개동 주상복합개발사업에 대해 지난 1월 승인을 받았다.
㈜미래도시는 2022년 9월부터 각종 대출이자가 3배 이상 늘어 자금 확보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올해 5월 홈플러스 명도를 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7천500억원을 받아 자금 상황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기존 승인받은 사업계획에서 오피스텔을 빼고 모두 공동주택(아파트) 1천839가구와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등 용적률 849%로 지하 7층, 지상 47~49층 7개동으로 변경을 추진 중이다.
그러면서 사업부지 내 공원부지 5천589㎡(약 1천162억원) 제공과 환기구 이설 및 신호체계 변경, 보행자 도로 등 2천51㎡(약 426억원)를 시에 제공하게 된다. 또 기존 792.99%에서 849%로 늘어나는 용적률 49%에 따른 공공기여로 1천662㎡(약 345억원)도 제공해야 한다. ㈜미래도시는 사업계획을 변경하면서 부지 내 도로 및 공원 부지와 공공기여 설치비 등을 모두 한산하면 약 1천933억원을 제공하는 셈이다.
이에 시는 상동 호수공원 주차장 2부지에 다목적 복합문화시설 건축물을 기부받기로 하고 지난 6월 공공기여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시는 공공기여에 대한 공유재산관리계획을 시의회에 상정해 심의·의결을 받을 계획이다.
하지만 시의회는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어 의결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시의회의 공유재산관리계획 부결 시 시행사가 기존 승인된 사업계획대로 추진하면 시가 제공받을 수 있는 2천억원 상당(도로와 공원 부지, 공공기여 설치비)의 공유재산을 포기해야 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동 주민협의체 관계자는 “상동 540-1번지 주상복합개발사업에 대해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공사 기간 주민들이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데 동떨어진 상동 호수공원 내 다목적 복합문화시설을 주민 의견 수렴 없이 공공기여를 결정한 것에 대해 반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래도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분양에 어려움이 예상돼 공원 부지와 도로, 공공기여 설치비 등 약 2천억원 상당의 비용 부담을 감수하더라도 전체를 아파트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려 한다”며 “시의회 심의가 지연되면 개발 지연이 불가피해 기존 사업 계획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시행사가 기존 사업 계획대로 개발을 추진하면 도로와 공원 부지, 공공기여 등을 하나도 제공받지 못한다”며 “이 같은 상황을 의회에 충분히 설명하고 이번에 공유재산관리계획이 의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