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과목 축소·유예 등 단행... 전담 교사 연기·보류·취소 안심 허술한 ‘AIDT’ 추진 방증 비판... 도교육청 “부작용 최소화 병행”
교육부가 내년 1학기에 예정한 AI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 과목 축소, 연기를 단행한 가운데 경기 지역 교육 현장 곳곳에서 안도와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하고 있다.
확실한 매뉴얼이나 시제품이 없어 실효성 의문이 제기돼온 AIDT 전면 도입 지연은 긍정적이지만, 적용 과목 교사의 AIDT 활용 자율성, 적용 제외 과목 후속 대책은 미해결 상태라는 게 교사들의 공통된 반응이기 때문이다.
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AIDT 도입 로드맵 조정안’을 발표, 일부 과목의 도입 여부와 시기를 조정했다.
도입이 연기, 보류된 과목은 ▲초·중 국어 ▲초등학교 사회(역사)·과학 ▲중학교 과학 등이며 초3~4학년과 중1, 고1을 대상으로 예정했던 수학, 영어, 정보 등은 예정대로 내년부터 도입된다. 고등학교 사회(한국사) 및 과학 역시 2028년 예정한 도입 시기를 맞출 예정이다.
이에 각급 학교에서 도입 연기나 보류, 또는 취소 과목 전담 교사들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도내 초등학교 교사 A씨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일부 과목 도입 취소를 결정한 것은 그만큼 AIDT가 급박하고 허술하게 추진됐다는 방증”이라며 “AIDT 실효성 문제가 선결되지 않는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에게 닥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면에는 AIDT가 예정대로 도입되거나 보류, 취소된 과목 교사 모두의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AIDT 도입 연기를 겪은 중학교 과학 교사 B씨는 “AIDT 활용을 전제로 새 학기 교육 과정을 편성한 상황”이라며 “도입 보류에 대응하는 매뉴얼도 없는 상황이라 어떻게 학사 일정을 끌어가야 할지 감도 잡히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예정대로 AIDT가 도입되는 과목 교사들은 모호한 교사의 AIDT 활용 범위, 자율권을 지적하고 있다. AIDT를 아예 기존 교과서처럼 활용해야 할지, 평소 수업을 보조하는 ‘교육 자료’로 취급할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교사 C씨는 “AIDT 활용 빈도, 범위를 교사가 얼마나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교육부, 경기도교육청 등이 AIDT의 용도, 위상을 규정해야 후속 교육 과정 운영이 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과별로 AIDT 효용성이 달라지기에 지속적인 점검과 보완이 수반돼야 한다”며 “학생 학습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전면 도입 전 일종의 과도기를 두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AIDT 도입에 필요한 교사 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를 진행 중이며, 예상되는 AIDT 부작용 최소화를 병행할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