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병’ 방치하면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젊은층도 ‘위험’

이미지투데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치아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치주질환이 있으면 당뇨병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의대 사회의학과 신명희 교수 연구팀은 2012~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9천여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당뇨병과 치주질환 사이에 이 같은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4천50명이 속한 ‘당뇨병’ 그룹과 2만5천441명이 속한 ‘비당뇨병’ 그룹으로 나눠 치주질환의 영향을 살폈다.

 

그 결과 치주질환은 기존 당뇨병 환자에게서 1.51배, 신규 당뇨병 환자에게서 1.74배 더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치주질환이 심하면 신규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20~44세 연령대에서 치주질환과 함께 체내 염증수치가 3mg/L 이상으로 높은 경우엔 신규 당뇨병 발병 위험이 23배까지 높아졌다.

 

잇몸병인 치주질환을 방치하면 구강 내 염증과 세균이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진다. 전신 염증 반응이 촉진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당뇨병의 발병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이에 잇몸병을 예방하려면 주로 치태가 쌓여 잇몸병이 발생하는 치아 사이(치간)와 치아와 잇몸의 경계(잇몸선)를 신경써서 양치해야 한다. 하루 3번 이상, 최소 2분 이상 양치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신명희 교수는 “치주질환이 심할수록, 당뇨병이 새롭게 발병한 경우일수록, 젊은 연령층일수록, 혈액 내 염증 수치가 높을수록 두 질환 간 연관성이 크다”며 “젊은 시절부터 치주질환을 관리하는 게 당뇨병 예방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