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尹 조기 퇴진 로드맵’ 격론…“조속한 하야” vs “임기 단축 개헌”

김종혁 “친윤계 주장, 국민 정서와 안 맞아”
윤상현 “조기 대선시 李 대통령 돼…반대”
정국 안정화TF 출범…“尹 퇴진 방안 도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9일 윤석열 대통령의 구체적인 퇴진 시기와 방법 등 이른바 ‘조기 퇴진 로드맵’을 논의했으나, 구체적인 결론은 내지 못했다.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 간 의견 격차로 내홍이 벌어지면서다.

 

이날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은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와 중진 회동, 비상의원총회를 잇달아 진행했지만,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했다.

 

현재 친한계는 윤 대통령의 조속한 하야를 통한 조기 대선 국면 진입을 촉구하고 있다.

 

김종혁 최고위원은 이날 “친윤계 상당수가 조기 퇴진에 반대하고 있고 일부 의원들은 1~2년 뒤를 얘기하는데, 이는 국민 정서와 전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조경태 의원도 “특수본부에서 한 달 안에 결론을 내겠다고 했으니 윤 대통령의 퇴진은 그 시점보다 빨라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친윤계를 비롯한 대다수의 중진 의원들은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한 퇴진에 힘을 싣고 있다.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를 내후년 지방선거 혹은 그 이후로 하자는 주장이다.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중진 회동에서는 “우리끼리 조기 퇴진이냐, 탄핵이냐를 얘기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는 불만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상현 의원(인천 동⸱미추홀을)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일부 의원들이 조기 대선을 하자고 하는데 그러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이양수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정희용·김소희·박수민·서지영·안상훈 의원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