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등 6개 기업 입주
한국전력공사가 하남시 감일동 소재 동서울변전소에 대한 옥내화 및 증설사업과 병행, 한전KDN 등 다수의 관련 기업 유치로 수도권 전력공급의 안전화를 추진한다. 여기에다 HVDC엔지니어링센터, 연구·교육기관 및 전시실 설치 등을 통한 에너지 허브 도약도 기대된다.
건축물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해 변전소 외관 디자인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주민친화형 업무겸용 복합사옥으로 건설한다.
한전은 10일 이 같은 내용의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사업에 따른 복합사옥 건축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력사업 유관기관이 함께 근무하는 주민친화형 복합사옥으로 건설과 미래 에너지기술 허브로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이에 따라 변전소 건물 상부를 증축하는 방법으로 한전 동서울전력지사와 함께 한전KPS, 한전KDN, 카페스(KAPES) 등 전력설비 운영과 유지보수 관련 6개 기업을 유치, 수도권의 안전적 전력공급 기반을 확실하게 다져 나갈 방침이다. 또 HVDC엔지니어링센터와 제어시스템연구소, 교육센터, 전시관 시설 등을 구축해 동서울변전소를 HVDC 기술허브로 육성한다.
한전은 전력설비 유지보수와 HVDC 기술개발 관련 직원 120여명이 동서울변전소에 근무,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전자파에 대한 일반의 우려를 불식시켜 나가는 것은 물론 전력분야 전문가들의 상호협력을 통한 업무시너지 효과를 높여 나갈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방안도 마련됐다.
한전은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변전소 외관 디자인을 선정, 주변 지역 미관을 개선하고 주민 수용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특히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 주요 전력설비를 건물 안으로 옮겨 주민들이 더욱 쾌적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한전은 사업 후 전력량이 2.5GW에서 4.5GW로 약 1.8배 정도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전력설비 옥내화로 전자파는 오히려 지금보다 60% 안팎으로 감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불어 주민들이 희망하는 장소에 전자파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를 설치, 전자파에 대한 오해와 불신을 해소하고 관련 협의체 운영도 병행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한전 HVDC건설본부 관계자는 “동서울변전소는 동해안의 대규모 발전력을 수도권 뿐 어니라 하남시 교산신도시와 3호선 감일역 등 지역 숙원 사업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핵심 설비로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역 주민들에 대한 사업설명회를 더욱 활성화 하는 등 전력설비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이해를 높여 관련 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