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교, 경기공유학교, 경기온라인학교 등 3개 교육 섹터를 중심으로 한 ‘공교육 대변혁’에 나선다.
도교육청은 10일 오전 남부청사에서 정책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 경기교육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계획은 지난 7월 도교육청이 구축한 ‘경기미래교육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마련됐다.
학교를 중심으로 경기공유학교, 경기온라인학교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학교 중심의 공교육 확대를 위한 행정지원을 펼치겠다는 구상이다.
2025 기본계획으로는 ▲학교 자율과 책임으로 역량을 키우는 교육 ▲지역협력으로 꿈을 펼치는 교육 ▲ 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는 교육 ▲학교중심의 공교육 확대를 지원하는 행정 등 4대 정책을 수립하고 9개 주요과제, 24개 세부과제, 76개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기존 정책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전, 목표, 기조는 그대로 유지하되 현장참여 정책제안, 경기교육정책 현장 모니터링, 학교·교육지원청 정책간담회에서 폭넓은 현장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공유학교 학점(수업) 인정 프로그램 개발, 경기온라인학교 학력인정 기반 마련, 인공지능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플랫폼 구축 정책과제를 추가해 교육섹터의 추진동력을 마련했다.
도교육청은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흐름에 맞춰 '에듀테크 활용 학력 향상'을 '디지털 기반 교수 및 학습 지원'으로 확대해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자원을 활용해 맞춤형 교육과 돌봄을 제공해 교육의 공적 책임을 확대한다.
서혜정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 “학교가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내년 기본계획의 핵심”라며 “공교육 영역을 확대해 환경·자원·기회의 차이가 학교·지역·문화의 차이로 이어지는 학습격차를 최대한 줄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