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훈 프로덕션 고금 대표 “뮤지션과 팬 위한 새로운 음악 생태계 만들 것”

image
조종훈 프로덕션 고금 대표가 경기일보와 인터뷰를 진행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안형철기자

 

“뮤지션과 팬들이 직접 평가하는 새로운 음악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싶습니다.”

 

조종훈 프로덕션 고금 대표(45)는 인디뮤지션과 신인가수 등에 대중들에게 평가받을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을 열어주기 위해 음반, 음원 유통 플랫폼 ‘사운드 프레스(sound press)’를 설립했다.

 

조 대표는 “저 역시 국악을 했던지라 인디뮤지션과 신인가수들에게 음원을 알리는 일이 얼마나 힘든 과정인지 알고 있다”며 “대형 레이블과 유통사들의 문턱을 넘지 못해 대중들에게 소개되지 못하는 음악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가 운영 중인 ‘사운드 프레스’는 대형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지 못한 뮤지션들에게 음반 제작, 발매 전 과정에서 필요한 인증 및 행정처리를 도와준다.

 

또 기존에 레이블(음반사)이나 유통사를 통해 발매됐던 시스템에서 이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뮤지션들의 음악을 소개하기도 한다.

 

현재 산업구조상 최종 리스너가 듣기 위해서는 중간 유통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영화산업의 배급사와 유사한 역할이다.

 

조 대표는 음악에 대한 평가는 유통사가 아닌 리스너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리스너가 듣기 전에 유통사가 평가해 사장되는 음악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

 

그는 “음악을 리스너가 평가해야하는데 유통사가 먼저 평가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며 “우리는 음악을 평가하지 말고 유통만 해주자라는 신념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음원을 유통하는 ‘사운드 프레스’에서 나아가 팬들이 뮤지션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사운드 파우치(sound pouch)’를 운영할 계획이다.

 

‘사운드 파우치’는 음원 소유관계 가운데 배급사, 대형엔터사들이 소유하는 ‘지적인접권’에 투자하는 것으로 팬들의 투자금이 이들의 영역을 대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팬들은 무명가수, 신인가수, 팬덤이 있는 인디뮤지션, 해외에 팬덤이 형성됐지만 국내에서는 무명인 1~3년차 신인아이돌, 과거 히트곡 리메이크 등의 음원에 직접 투자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저작인접권은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형 유통사나 엔터사들이 거래하는 시장이 형성돼 있다.

 

현재 스트리밍 서비스 기준 음원 수익의 배분은 작곡가 등이 가진 저작재산권이 10% 내외. 유통플랫폼 35~40%, 실연자 7~8%, 나머지 50~55%가 저작인접권으로 나눠져 있다.

 

기존에도 음악 저작권 투자 플랫폼은 있었지만 저작재산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수익률이 생각보다 낮고 리스크는 크고 수수료도 많다는 게 조 대표의 설명이다.

 

또 저작재산권의 90%가 저작권협회에 신탁이 돼 있어 거래 시 여러 허들이 발생하지만 저작인접권은 별다른 허들이 없다.

 

조 대표는 “사운드 프레스와 사운드 파우치 모두 뮤지션과 팬을 위한 플랫폼으로 대형엔터사나 레이블과 경쟁하지 않는다”며 “대형엔터사들의 시장을 목표로 하지 않고 그 시장에 가지 못하는 중간단계의 다양한 뮤지션들이 활동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전했다.

 

이어 “사운드 파우치의 경우 투자를 받는 것도 목표이지만 음악을 알리는 마케팅의 역할도 하나의 방향으로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