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오는 2028년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활용한 노인 돌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2028년이 되면 도는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는 인공지능 기반 노인 돌봄 사업 체계를 마련했다.
‘늘편한 AI케어’는 휴대전화 앱으로 노인들의 안부와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다. 지난 7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 휴대전화 카메라에 15초간 손가락을 대면 혈류를 체크해 심혈관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건강리포트를 작성하고 치매위험군 자가검사 뒤 결과를 돌봄매니저에게 보내 관리한다.
학대받는 노인을 위한 인공지능 돌봄서비스 ‘AI 어르신 든든지키미’도 추진 중이다. 지난 7월부터 재학대 고위험군 100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재학대 위기 상황 발생 시 AI스피커가 음성으로 상황을 감지해 112나 노인보호전문기관을 긴급 호출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도 65세 이상 도내 거주 노인들에게 주 1회 정해진 시간에 인공지능이 약 3분간 전화를 거는 ‘AI 노인말벗서비스’도 있다. 건강취약 독거노인 1천명에게 AI 건강관리 로봇을 배부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AI로봇 활용 어르신 건강관리사업’도 진행 중이다.
특히 도내 읍면동 중 노인인구 비율이 46%로 가장 높은 포천시 관인면을 ‘AI 시니어 돌봄타운’ 시범사업 대상으로 지정해 7월부터 다양한 인공지능(AI)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늘편한 AI케어 전용앱과 연동해 돌봄매니저가 전화로 건강, 식생활·복약을 상담한다. 필요한 경우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댁에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가 직접 방문하는 경기도의료원의 ‘찾아가는 돌봄의료센터’ 연계서비스도 제공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