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대행 사과에 정진석 등 참모 2일 정상 출근 “독단적 재판관 임명 오점 남을 것” 일부 여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으로 촉발된 대통령실 고위 참모들의 집단 사직 사태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 대행의 독단적인 헌법재판과 임명에 반발해 사직 의사를 밝혔던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들이 이날 정상적으로 근무했다.
앞서 최 대행이 정 실장의 사의를 받아들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지만, 최 대행은 다시 정 실장에게 네 차례 전화 통화를 통해 “애초 사표 수리 문제를 잘못 판단했다. 미안하다”며 반려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권 핵심부에서도 최 대행과 대통령실 참모 간 갈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의 전원 사의 표명과 관련해 “제가 취임하면서 당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것이 몇 가지 있는데 첫째가 국정 안정”이라며 “대통령실, 총리실, 내각 모두 국정 안정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잘 생각하고 그 방향으로 결정하고 행동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최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과 대통령실의 집단 사의 표명 모두를 에둘러 비판한 것으로, 당장 국정 안정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정 실장은 이날 정상 출근해 정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일단 사의를 거두고, 수석들도 ‘거취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정책·안보 분야 고위 참모진이 한꺼번에 자리를 비우면 국정 보좌 업무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우려가 반영된 셈이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최 대행이 헌법재판관 2명을 임명하면서 헌법재판소 6명 체제가 8명으로 늘어나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결과를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 된 것”이라며 “그럼에도 대통령실 집단 사의를 막은 것은 당정이 한목소리로 국정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원칙론이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