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집단 사직 접고 업무 수행…내부 갈등 소강 국면

최 대행 사과에 정진석 등 참모 2일 정상 출근
“독단적 재판관 임명 오점 남을 것” 일부 여진

고개 돌린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왼쪽)과 고개 숙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연합뉴스
고개 돌린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왼쪽)과 고개 숙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으로 촉발된 대통령실 고위 참모들의 집단 사직 사태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 대행의 독단적인 헌법재판과 임명에 반발해 사직 의사를 밝혔던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들이 이날 정상적으로 근무했다.

 

앞서 최 대행이 정 실장의 사의를 받아들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지만, 최 대행은 다시 정 실장에게 네 차례 전화 통화를 통해 “애초 사표 수리 문제를 잘못 판단했다. 미안하다”며 반려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권 핵심부에서도 최 대행과 대통령실 참모 간 갈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의 전원 사의 표명과 관련해 “제가 취임하면서 당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것이 몇 가지 있는데 첫째가 국정 안정”이라며 “대통령실, 총리실, 내각 모두 국정 안정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잘 생각하고 그 방향으로 결정하고 행동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최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과 대통령실의 집단 사의 표명 모두를 에둘러 비판한 것으로, 당장 국정 안정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정 실장은 이날 정상 출근해 정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일단 사의를 거두고, 수석들도 ‘거취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정책·안보 분야 고위 참모진이 한꺼번에 자리를 비우면 국정 보좌 업무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우려가 반영된 셈이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최 대행이 헌법재판관 2명을 임명하면서 헌법재판소 6명 체제가 8명으로 늘어나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결과를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 된 것”이라며 “그럼에도 대통령실 집단 사의를 막은 것은 당정이 한목소리로 국정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원칙론이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