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민단체들이 지난해 숨진 특수교사 A씨에 대한 진상규명 조사에 적극 나서라고 인천시교육청에 촉구했다.
인천교사노동조합, 인천장애인부모연대 등 11개 단체가 모인 ‘인천 특수교사 사망 진상규명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특수교사 A씨가 과중한 업무로 돌아가신 지 석 달이 됐지만 아직 진상이 밝혀지지 않았다”며 “진실을 규명할 의지가 있는지 조차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시교육청의 방해로 진상조사위원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교육청이 면담 참관이나 자료 요청 등 운영세칙으로 보장한 정당한 활동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강경욱 비대위원장은 “도성훈 교육감은 인천 특수교사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순직 인정을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진상조사위원회 회의록조차 공개하지 않는데, 이는 운영 세칙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밖에 시민단체 등은 도성훈 교육감이 약속한 134개 특수학급 신설을 지키라고도 강조했다. 인천지역에는 지난해 기준 1천138개 특수학급 중 197개 특수학급이 여전히 과밀학급이다. 과밀학급을 맡은 특수교사들은 업무 과중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강 비대위원장은 “시교육청이 특수교육 여건을 보다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불법 과밀학급을 없애야 한다”며 “일선 학교들이 특수학급 신설을 반대한다 해도 시교육청이 더 강력히 행정조치를 해 특수학급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진상조사위원회는 세칙에 따라 원활하게 운영 중이며, 곧 다음 진상조사위원회 회의도 계획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지난 2024년 10월24일 특수교사 A씨가 과중한 업무로 숨졌고, 이에 시교육청은 교원단체, A씨 유가족 등이 참여한 특수교사여건개선 전담 기구,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운영 중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