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K-컬처밸리 사업 추진 구상을 밝혔다. 사업 일부를 민간공모로 추진한다고 했다. 전체 사업부지 30만4천여㎡ 가운데 15만9천여㎡다. 사업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용적률 등의 제반 조건을 완화하겠다고 했다. 공모가 4월 초에 이뤄지면 올해 재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도는 그동안 고양시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용역을 했다. 이에 대한 중간 설명회 형식인 것으로 보인다.
관심은 민간에 맡긴다는 부분이다. 당초 경기도의 약속은 ‘건공운민’이었다. 건설 개발은 공공에서 하고 운영은 민간에 맡긴다는 의미다. 기존 CJ라이브시티의 공사 지체 책임을 지적하면서 강조했다. 더구나 이 구상은 김동연 지사가 직접 발표했다. 도민 청원에 답변하면서 밝힌 세 가지 핵심 원칙이다. GH 출자, 건공운민, 경기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이다. 이번 민간 추진 계획 발표는 그 약속과 다르다.
김성중 행정1부지사가 설명했다. ‘아레나 건립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시간을 단축할 방법을 찾은 것이다.’ 경기도가 CJ 측과의 계약을 해지한 것은 지난해 6월 말이다. 당시 아레나는 공정 17%였다. 7개월이 흐르고 ‘시간과의 싸움’ 주장이 나왔다. 더구나 공영개발 포기의 주된 이유로 설명됐다. 당연히 계산했어야 할 타임라인이다. 민간·공영개발의 시차도 일반적 사항이다. 기본적인 검토도 없었나.
시민의 걱정은 또 있다. 민간업자 참여 여부다. 용적률 등 대대적으로 문을 연 것을 보면 여의치 않음을 경기도도 예상한 것 같다. 공모는 4월에 한다니 판단은 그때 다시 할 일이다. 다만, 시민 관심이 높은 만큼 살펴볼 설이 있다. 많이 거론되는 그룹이 국내 4대 엔터기획사다. 하이브, SM, YG, JYP 등이다. 일부 주민들의 기대가 반영된 예상이다. 연예 기획사인 이들이 개발에 뛰어들지는 미지수다.
다른 한 그룹은 SK, 삼성, 현대차 등 대기업이다. 주로 고양지역 정치인들이 거론한 것으로 알려진다. 트럼프 체제 출범에 비상이 걸린 반도체, 자동차 업계다. 전혀 가능성 없다는 게 해당 업계의 전언이다. 또 하나의 추론은 ‘도로 CJ’다. CJ라이브시티가 다시 사업을 맡는 방향이다. 사업 속도를 낸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다. 하지만 풀어야 할 현안이 많다. 지체상금, 손해배상 등 쟁송이 막고 있다.
CJ 측에서도 “현재로서는 입장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항간에는 CJ 측이 ‘제3의 장소도 생각한다’는 얘기도 떠돈다. 고양시민에게는 뭐 하나 속 시원한 소식이 없다. 도의 주장처럼 ‘시간과의 싸움’이 맞고, 민간개발이 속도감 있다는 분석도 맞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시민들이 의문을 제기한다. 왜 계약 해지라는 선택부터 한 것인가. 이렇게 지연될 줄 몰랐는가. 전에 없던 답답한 도정을 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