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경기도내 각 시·군이 민간 상가, 빌딩 등에 개방화장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물품 도난, 일부 시민들의 무분별한 공간 활용 등으로 관리 주체가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방화장실은 유동 인구와 모임이 많아지는 휴일에 역할이 더 커지지만, 개방화장실 운영에 동참한 건물 운영 주체가 속속 발을 빼고 있어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1일 도내 각 시·군에 따르면 올해 기준 개방화장실은 수원시에 가장 많은 103개가 설치돼 있고 이어 성남 117개, 용인 40개 순으로 마련돼 있다.
현행법상 민간 개방화장실은 상가나 민간시설 소유·관리자와 협의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화장실이다.
건물 소유주 등이 민간 개방화장실을 신청하면 각 시·군 내 자치구는 평가를 통해 선정, 각 지자체에 따라 상이하지만 개방화장실로 지정되면 휴지와 비누, 종량제봉투 등 용품을 지원받게 된다.
문제는 일부 시민의식이 부족한 이용자들로 인해 개방화장실 관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지원과는 별개로 전반적인 관리를 도맡아야 하는 건물관리인, 청소 관계자들은 위생 문제나 쓰레기 투기, 기물 파손·도난 등을 이유로 피해를 호소하며 지정 취소까지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수원시의 경우 매년 5~7건의 개방 화장실 취소 신청 건수를 보이고 있고, 이는 신규 신청 건수(10건)의 50~70% 수준에 달한다.
더욱이 민간 개방화장실의 경우 연휴에도 정해진 개방시간에 따라 열려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연휴 기간에 따라 이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성남시 분당구의 한 건물 관리인 A씨는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하게 하자는 취지는 좋지만 물품 지원은 고사하고 화장실 용품 도난과 문 파손 등 문제가 많다”며 “더욱이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해 화장실 청소 아주머니의 고충은 이루 말할 것도 없다"고 하소연했다.
실제 본지에서 방문한 성남시, 수원시 일대 상가 건물 내 개방화장실 5곳 중 3곳은 이용객들의 무분별한 공간 활용 탓에 위생 문제가 심각한 상태였다.
수원시 권선구의 한 상가건물 관리자 B씨는 “개방된 건물로 인해 화장실은 밤마다 취객의 구토 등 우려점이 많아 조만간 지정 취소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특히 우리 건물은 상가가 많지 않음에도 개방화장실 탓에 휴일에도 건물을 개방해 놓아야 해 보안 문제도 있다”고 토로했다.
개방화장실의 장기적인 운영과 확대를 위해선 지자체 차원의 청소 용역 지원 등 실질적인 관리에 대한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점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난해 개방화장실에 대한 청소 용역 지원을 시작, 신청자가 많이 늘고 있다”며 “보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지원책을 검토하고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