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빈곤율 2년 연속 상승…경기도 노인 절반 '돈벌이' 중

노인+빈곤+(2)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경기일보DB

 

노인빈곤율이 2년 연속 상승한 가운데 경기도 노인의 45.2%취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8~9월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도민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진행한 ‘2024년 경기도 노인실태조사에서 현재 취업중이라고 답한 45.2%의 응답자들은 생계비 마련(79.4%)’을 돈벌이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는 경기도 노인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진행한 지난 2021년에 비해 10.7%p가 상승한 결과로 용돈 마련(11.7%)’, ‘건강 유지(5.3%)’ 등이 뒤를 이었다.

 

노후 생활비 마련 방법을 묻는 질문엔 본인 스스로(40.9%)’가 가장 많았으며 본인과 사회보장(34.5%)’, ‘사회보장(16.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지난 2021년 조사의 본인과 사회보장(31.0%)’, ‘사회보장(29.1%)’, ‘본인 스스로 마련(28.5%)’ 등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024+경기도+노인실태조사+주요+결과+최종_3
경기도 제공

 

이에 대해 백석대 사회복지학부 최명민 교수는 사회가 노인 복지를 완전히 책임지지 못하는 한 노인의 생계는 곧 가족의 생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면서 전반적인 가구소득이 줄어듦에 따라 노인들의 삶이 더욱 팍팍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과거 노인 부양은 대부분 자식의 몫이거나, 노인 스스로 노후 준비를 잘하는 경우였다면서 시대가 변하면서 젊은 세대가 부모를 부양하기 힘든 구조가 됐고, 노후 준비가 안된 부모 세대에게 공적연금이나 기초연금 등 복지제도는 미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인 빈곤을 막을만한 복지정책을 구축하고 펼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다 보니 당장 시급한 불을 끄고자 노인일자리 창출이라는 차선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5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8.2%로 나타났다. 이는 10명 중 4명이 빈곤층에 해당하는 결과로 202238.1%보다 0.1%p 악화된 수치다.

 

지난 2020년 발표된 OECD 국제 비교 기준에서도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이상 높게 나오며 빈곤율 1위의 불명예를 안은 바 있다.

 

최 교수는 복지국가로 불리는 선진국의 사례를 예로 들며 생애주기상 노인기에 접어든 이상 궁극적으로 노인의 경제활동은 졸업할 수 있도록 사회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면서 그때까지 민간과 지역사회가 나서 노인일자리 창출 등 상황에 맞는 복지를 펼치는 것이 제도의 허점을 메울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일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