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4일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논란을 둘러싼 증인 회유 의혹과 계엄 준비 정황을 두고 첨예하게 맞섰다.
여당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계엄 이후 했던 발언의 진위를 추궁했고 야당은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민간인 신분임에도 계엄 전날 비화폰을 지급받았단 의혹을 제기하면서 맞불을 놨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곽 전 사령관이 더불어민주당에 회유돼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에 불리한 증언을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이후인 지난해 12월6일 민주당 김병주·박선원 의원과 만나 유튜브로 실시간 질의응답을 하며 계엄 당일 상황을 일부 증언했고, 같은 달 10일엔 국회 국방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후 민주당 박범계 의원과 만나 ‘양심고백’을 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임종득 의원은 “김 의원이 군사령관일 때 곽 전 사령관은 중요 참모였다”며 “그 관계를 군인들은 다 안다”고 말했다. 이어 곽 전 사령관의 양심고백에 대해 “그 자리에서 곽 전 사령관이 민주당에 회유당했다는 제보가 있다”고도 밝혔다.
이에 곽 전 사령관은 “누구의 사주나 요구로 답변한 사항은 없고 제 의지대로 말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답했다.
반면 민주당은 대통령 경호처가 노 전 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해 12·3 비상계엄을 철저히 준비했다는 정황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윤건영 의원은 “제가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대통령경호처에서 노 전 사령관에게 끝 번호가 9481인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며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비서관이 비화폰을 챙겨가 노 전 사령관에게 줬다”고 말했다.
한편 특위는 야당 주도로 5일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와 서울 동부구치소를 잇달아 찾아 비공개 신문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