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정월대보름... 도내 곳곳서 달맞이 행사 ‘풍성’ 수원문화원, 민속놀이 한마당 시흥서 달빛고사·부럼 나누기 체험 여주선 달집태우기·쥐불놀이 즐겨
12일(음력 1월15일)은 2025년 을사년 첫 보름달을 만날 수 있는 정월대보름이다. 일찍이 농사를 짓던 우리 민족은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자연이 순환하는 모습을 살폈고, 한 해의 가장 커다랗고 둥근 달을 처음 만나는 순간은 일 년 중 가장 중요한 날로 꼽혔다. 마을의 평안을 축원하는 마을 제사와 풍년을 기원하는 농점(農占),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액막이, 달집태우기 등 다양한 세시풍속이 펼쳐지는 대보름. 경기도 곳곳의 다양한 체험으로 추억을 남겨보는 것은 어떨까.
정월대보름의 풍속에는 즐거움과 함께 조상들의 지혜가 숨겨져 있어 그 의미를 알고 나면 더욱 색다르게 느껴진다. “일 년 열두 달 동안 아무 탈 없이 평안하고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 주십시오” 하고 축원하는 부럼 깨기에는 부스럼 예방과 치아의 건강을 위한 목적이 담겨 있었고, 동네 농악대가 집집을 돌며 즐겁게 놀고 축원해 주는 지신(地神)밟기에는 지신을 진압해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는 의미가 담겼다.
주말인 15일 수원 화성행궁 광장에서는 정오부터 수원문화원 주최의 제36회 수원특례시 대보름 민속놀이 한마당이 펼쳐진다. 부럼 깨기, 떡메치기, 투호놀이 등 온 가족이 함께하는 ‘놀이 체험’과 수원 지신밟기의 ‘기원 행사’, ‘전통차‧먹거리 체험’ 등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이날 축제의 백미는 윷놀이 대회다. 온라인으로 사전 접수한 128팀(1팀 4명)은 현장에서 치열한 경기를 펼치며 보는 재미, 즐길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
12일 대보름 당일 시흥시·시흥문화원은 오후 1시부터 시흥문화원 신축부지에서 달빛고사와 달집태우기, 부럼나누기와 먹거리, 소원지 쓰기 등 체험부스를 진행한다. 나무와 짚으로 만든 달집에 불을 질러 주위를 밝히는 달집태우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액운이 떨어질테다.
이와 함께 동별 윷놀이 대회에서는 토너먼트를 거쳐 선정된 최종 1~4등 팀에게 소정의 상품도 지급된다.
같은 날 여주에서도 달집태우기 축제가 한바탕 펼쳐진다. 이날 오후 2시부터 달맞이광장에서는 높이15m 지름12m인 달집태우기 축제를 개최한다. 주민들은 한 해의 계획과 소망을 적은 소원지를 달집과 함께 태우고, 이외에도 쥐불놀이용 깡통 만들기, 연 만들기, 윷놀이, 제기차기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아주 보통의 하루’를 기원하는 정월대보름의 현대적 의미를 담은 행사가 서울 본관과 파주관에서 진행된다. 본관에서는 액막이 북어를 만들어 일상의 복을 기원하고, 보름달 형태의 무드등을 만들며 오늘 밤도 평안히 맞이하기를 소망해 본다. 파주관에서는 관람객의 소망을 염원하고 기록하는 ‘수장고에 복을 담아두어요’ 행사를 열며 대보름 당일에는 ‘액막이 방패연 모빌 만들기’ 참여형 행사가 마련된다.
한국민속촌에서는 같은 날 오후 2시 5호 광장에서 대보름 집 앞에 오곡을 담아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볏가릿대 세우기’ 시연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