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미래 모빌리티 허브도시 조성”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미래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감도. 광명시 제공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미래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감도. 광명시 제공

 

광명시흥 3기 신도시의 미래 모빌리티 허브 도시 조성이 본격화된다.

 

광명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사업은 ▲로보택시, 로보셔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모빌리티 서비스 ▲미래형 공간 인프라와 도로 등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이 주요 내용이다.

 

우선 신도시 내부와 인근 지역을 이동하는 로보택시와 로보셔틀 서비스가 조성된다.

 

캠핑카 등 비정기적으로 필요한 차량을 필요에 따라 대여할 수 있는 특수목적 차량 대여 서비스, 로봇이 식음료를 배달하는 로봇 배송 서비스도 포함된다.

 

특히 UAM 서비스가 구축되면 작은 항공기를 타고 강남과 인천공항 등 외부 광역거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할 인프라도 조성한다.

 

다양한 유형의 모빌리티 수단을 수용하고 연계할 수 있는 미래형 환승센터를 건립하고 도로에는 QR 표지판, 스마트 가로등 등을 설치해 도면 설치물을 자율주행 차량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택시나 셔틀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전용 환승·대기 공간(플렉스존·Flex Zone)도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관제를 지원하는 디지털 교통운영 시스템도 개발한다.

 

광명시와 시흥시는 2023년 11월 국토교통부 주관 ‘미래 모빌리티 도시형 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3억5천만원을 지원받아 광명·시흥 3기 신도시를 미래 모빌리티 수단과 도시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이동혁신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어 지난해 1월 국토부, 시흥시와 협약을 맺고 같은 해 4월부터 사업 수행자인 현대자동차그룹과 사업을 진행해 왔다.

 

광명시는 이번 용역을 바탕으로 한 최종 계획을 연내 광명시흥 3기 신도시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의할 계획이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흥 3기 신도시는 단순한 교통 혁신을 넘어 도시 공간과 이동 수단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초연결 스마트도시로 발전할 것”이라며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도시를 조성해 시민 모두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