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워서 못보내”...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에 불똥튄 늘봄학교

늘봄학교 마치고 귀가중 참변... 교육 현장·학부모 ‘불안’ 커져
도교육청, 교사 정신건강 점검, 귀가 지도·순찰 강화 대책 논의

초등학생 피살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 피해자 고(故)김하늘양의 합동분향소가 마련됐다. 연합뉴스
초등학생 피살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 피해자 고(故)김하늘양의 합동분향소가 마련됐다. 연합뉴스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으로 교사 정신질환 문제가 불거지면서 오는 3월 늘봄학교 전면 시행을 앞둔 경기도내 교육 현장과 학부모 우려가 커지고 있다.

 

피해 학생이 늘봄학교 수업 후 귀가하다 변을 당하면서 방과 후 학생 안전 문제가 부상했기 때문인데,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일선 교육지원청은 귀가 지도 및 순찰 강화, 늘봄학교 교사 정신건강 점검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1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교육청은 다음 달부터 도내 1천351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전면 시행한다.

 

늘봄학교는 출산율 급락에 대응하고자 정부가 ‘방과후 학교’, ‘돌봄 교실’을 결합해 내놓은 새 돌봄 모델이다. 최장 오후 8시까지 초등학교 저학년생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핵심이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별·학교별 순차 도입이 시작돼 다음 달부터는 전면 시행된다.

 

하지만 고(故) 김하늘양이 피살 당시 늘봄학교에 참여 중이었고, 가해 교사가 유인했던 것으로 밝혀지자 도내 학부모들은 정규 수업 대비 학생에 대한 늘봄학교 특성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화성시 한 초등학교 저학년생 학부모 이유란씨(49)는 “맞벌이를 해 아이를 늘봄학교에 맡기고 있는데, 이제는 아이가 언제 범죄의 표적이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하다”며 “가장 안전해야 할 곳이 학교인데 아이 맡기기 무서워 보내지 말아야 하나 고민 중”이라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자 도교육청과 각 지역 교육지원청은 늘봄학교 학생 안전 관리 강화 방안을 속속 강구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늘봄학교 참여 학생 관리, 귀가 지원을 담당할 자원봉사자 추가 확충 방안을 논의 중이며, 하반기 추가 예산 확보를 거쳐 늘봄전담실장 등 실무 인력을 더 늘릴 계획이다.

 

현재 도교육청은 아직까지 모든 학교에 늘봄전담실장을 배치하진 못했으며 기간제 교사, 행정실무사 등 대체 실무 인력을 학교당 1명 이상씩 배치한 상태다.

 

수원, 부천 등 일선 교육지원청은 학교별 학생 귀가 안전 지도를 강화함과 동시에 지역 경찰서와 함께 학교 일대 순찰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늘봄학교 과정에서 사건이 발생한 만큼 전면 시행 전 예방책 마련에 주력 중”이라며 “돌봄 전담 인력 심리·정서 지원, 학생 안전 사각지대 해소 등 필요한 모든 대책을 수립,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정신질환 등으로 정상적인 교직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직권휴직 등 조처를 할 수 있는 이른바 ‘하늘이법’ 추진 방침을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