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재, 이재명에 "전 국민 25만원 지원은 아냐…정신 차리자"

"모 아니면 도, 이런 정치는 하지 말자…이론 없는 정책은 허구"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연합뉴스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연합뉴스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추경에 서민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 국민 25만원 지원은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표를 향해 "정신 좀 차리자, 정도를 가자"고 직격했다.

 

이 전 의원은 1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번 추경은 민주당이 바라보는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불법 계엄 이후 송년회도 취소되고, 자영업자들은 줄도산 하고 있다. 소비 진작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전 국민 25만 원 지원은 아니다. 저소득층 지원과 소비 진작에 집중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1조 원만 있어도 예를 들어 500만 원 소액 대출자 2천만 명에게 1% 이자를 줄여 줄 수 있다. 금융시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25만원 지원을 추진하려 했지만 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지금이야 말로 상인적 현실 감각이 필요하다. 모 아니면 도, 이런 정치는 하지 말자"고 했다.

 

이 전 의원은 반도체특별법에 대해서도 “반도체법은 진작 통과됐어야 했다. 정치권은 말로만 ‘반도체가 미래다’라고 해왔다”며 "주 52시간제는 시간을 가지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조정하자.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 보호해야 할 노동자는 확실히 보호하자. 선진국처럼 고액 연봉자는 제외하자"고 말했다.

 

또 "업종별로는 IT인력,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등 선진국 수준을 따라가자. 주 4일제, AI, 재택근무 등이 늘어날 미래를 대비해 근로 시간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며 "노동자의 임금만으로는 살인적인 주택비와 보육 및 교육 비용을 감당 할 수 없다. 국가는 삶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길을 찾아내면서 대타협을 이뤄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적었다.

 

그는 “경제위기가 오면 서민이 더 고통스럽다, 서민을 지원하자. 미래가 없으면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김대중·노무현의 길, 즉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정당, 중도 개혁의 길을 확고히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책은 당 내에서 치열하게 논의해 결정해야 한다. 정책이 결정되면 실천해야 하고, 변경 사유가 생기면 당원과 국민에게 그 과정을 설명해야 한다"며 "이론 없는 정책은 허구다. 정책 없는 정치는 영혼이 없는 정치다. 이론과 정책에는 정도가 있다. 정권은 유한하지만, 국민과 국가는 영원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