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서거 80주기…서경덕 "중국 국적 왜곡 그만"

"3.1절 맞아 국내외에 윤동주 제대로 알릴 것"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윤동주 시인의 국적을 '중국'으로 표기하고 있다. 서경덕교수SNS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윤동주 시인의 국적을 '중국'으로 표기하고 있다. 서경덕교수 SNS 제공

 

 

16일 윤동주 시인(1917~1945)의 서거 80주기를 맞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윤동주 시인의 중국 국적 왜곡 문제를 비판했다.

 

서 교수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늘은 일제강점기 저항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윤동주의 순국일”이라면서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 5년간 국적을 ‘한국’으로 시정하기 위해 바이두 측에 항의 메일을 꾸준히 보냈지만 지금까지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 입구에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대형 표지석이 그대로 남아 있다. 서경덕교수SNS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 입구에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대형 표지석이 그대로 남아 있다. 서경덕교수 SNS 제공

 

지난 2023년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 ‘글로벌타임스’는 윤동주를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독립투쟁에 참여한 ‘조선족 애국 시인’”이라고 소개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또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 생가 입구에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대형 표지석이 그대로 남아 있다.

 

서 교수는 “생가에서 만난 많은 중국 관광객들은 윤동주를 중국 사람으로 여기고 있었다”면서 “한국 정부가 윤동주 왜곡에 관련해 중국 당국에 강하게 항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오는 3.1절을 맞아 윤동주 관련 다국어 영상을 제작중”이라면서 “국내외에 윤동주를 제대로 알리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