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저출생 극복, 주35시간 근무 단축”

경기연구원, 설문조사 결과
일생활균형 어려운 이유로
女 20대 39.3%·30대 31.5%
장시간 일 업무량 과도 꼽아

image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저출생 극복을 위해 근로 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시간 근로문화가 일가정양립을 어렵게 하고, 출산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저출생 극복, 근로시간 단축과 일생활균형 확보부터’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20~59세 근로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생활균형을 이루는 데 가장 어려운 이유로 남자의 26.1%와 여자의 24.6%가 장시간 일하는 문화와 과도한 업무량을 꼽았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의 응답이 각각 39.3%, 31.5%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대다수는 이로 인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게 쉽지 않다며 근로 시간을 줄이는 게 답이라고 말했다.

 

‘저출생 문제 해결 위해 가장 적절한 정책’ 관련 경기연구원의 경기도민 인구정책 인식조사 결과. 경기연구원 제공
‘저출생 문제 해결 위해 가장 적절한 정책’ 관련 경기연구원의 경기도민 인구정책 인식조사 결과. 경기연구원 제공

 

응답자의 실제 하루 근로시간과 희망하는 근로시간과는 한 시간이라는 차이를 보였다. 하루 24시간 중 남자는 8.3시간, 여자는 7.5시간을 근로한다고 답했는데, 희망 근로시간은 남자 7.2시간, 여자 6.5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산과 양육의 주 연령대인 맞벌이 가구의 30대에서 차이가 가장 컸다. 희망하는 단축 근로시간으로 남자는 84분, 여자는 87분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또 무자녀가정보다는 자녀가 1명인 가정에서 출산 의향이 있는 경우 68분, 없는 경우 49분으로 답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주40시간인 현행 법정 근로시간을 주35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육아기 자녀를 돌보는 근로자를 대상으로는 단축 시간을 더 늘리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시간 일하는 문화가 일생활양립에 걸림돌이라고 응답한 만큼 특정 대상이 아닌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하나의 문화로 확립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