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최종진술…"잔여 임기 연연 안해…개헌·정치 개혁 추진"

"복귀하면 개헌과 정치개혁 추진에 임기 후반부 집중"

image
25일 오후 탄핵심판 11차 변론에서 최종 의견 진술을 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자신의 탄핵심판 최종진술에서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는다"며 대통령 직무 복귀 시 "정치 개혁과 개헌에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12.3 비상계엄 선포는 이 나라가 지금 망국적 위기 상황에 처해있음을 선언하는 것"이라며 "주권자인 국민들께서 상황을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함께 나서 달라는 절박한 호소"라고 언급했다.

 

또 "북한을 비롯한 외부의 주권 침탈 세력들과 우리 사회 내부의 반국가세력이 연계하여, 국가안보와 계속성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당장 2023년 적발된 민주노총 간첩단 사건만 봐도, 반국가세력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북한 공작원과 접선하여 직접 지령을 받고, 군사시설 정보 등을 북한에 넘겼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의 지시에 따라 선거에 개입한 정황도 드러났다"며 "지난 대선 직후에는 '대통령 탄핵의 불씨를 지피라'면서 구체적인 행동 지령까지 내려왔다. 실제로 2022년 3월 26일 ‘윤석열 선제 탄핵’ 집회가 열렸고 2024년 월 12 초까지 무려 회의 178 대통령 퇴진 탄핵 , 집회가 열렸다"고 이야기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의 목적을 상당 부분 이루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우리 국민 우리 , 청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그는 "제가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먼저 87체제를 우리 몸에 맞추고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개헌과 정치개혁의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려고 한다"며 "현행 헌법상 잔여 임기에 연연해 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제게는 크나큰 영광"이라고 마무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